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성장기 거주지역에 따른 교육 및 임금 격차와 소득불평등의 재생산 = Education and wage disparitie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during periods of growth, and reproduction of income inequality / 김승정 ; 최호권 ; 정예림 ; 양완진 ; 박인권 1

Abstract 1

I. 서론 2

II.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2

1. 이론적 고찰 2

2. 선행연구 검토 3

III. 연구설계 4

1. 분석방법 4

2. 변수설정 5

IV. 성장기 거주지역에 따른 임금 격차 7

V. 성장기 거주지역이 세대 간 소득불평등의 재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10

VI. 결론 12

인용문헌(References) 1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베트남 아파트 공급정책 효과의 재조명 = Revisiting Vietnam's apartment supply policies : a study of social housing supply attributes and affordability in Hanoi : 하노이 사회주택 아파트 공급 특성과 수요자 주거비 부담 능력을 중심으로 신유승 p. 5-17

보기
부산광역시 지하철 역세권 유형분류 및 관리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ypology and management strategy of the subway station area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황지용, 김지현 p. 18-30

보기
가로 연결성이 상권의 경제활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reet connectivity on the economic vitality of commercial district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 서울시 상권 단위 매출액 비교를 중심으로 장아영, 강명구 p. 31-45

보기
서울시 교통 민원과 도시 특성 요인 간의 상관성 분석 =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urban characteristic factors and traffic complaints in Seoul :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 지리가중회귀모형의 적용 김수진, 김흥순 p. 46-59

보기
(An)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shrinking city : through the lens of the smart city Jang, Seok-Gil Denver, Bayarsaikhan, Tsolmon, Gim, Tae-Hyoung Tommy p. 60-72

보기
자율주행버스 이용경험이 자율주행기술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autonomous bus experience on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원용숙, 임재빈 p. 73-87

보기
성장기 거주지역에 따른 교육 및 임금 격차와 소득불평등의 재생산 = Education and wage disparitie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during periods of growth, and reproduction of income inequality 김승정, 최호권, 정예림, 양완진, 박인권 p. 88-102

보기
부동산 과소거래시장의 하위시장 가격지수 작성을 위한 계층 모형의 활용 방안 = An application of the hierarchical model for the sub-market price indices of the real estate thin market 송영선, 최성경, 이창무 p. 103-120

보기
(The) effects of subj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civil complaints data and obj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on housing price : using LDA topic modeling Bae, Junyeol, Kang, Hyundo, Go, Seungwook, Lee, Seungil p. 121-142

보기
서울시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인 분석 =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s in Seoul, Korea 정상희, 이수기 p. 143-160

보기
통신자료를 활용한 활동인구 연령계층의 혼합도 측정과 영향요인 = Measuring the hourly population mix by age group and its influential factors using mobile phone data : a case study of Seoul : 서울시를 사례로 김슬기, 고준호 p. 161-175

보기
해상풍력발전단지 설치에 따른 자연경관영향 평가 시 시각적 인지 높이 측정 방법 연구 = Research on measuring visual perception height in assessing the impact on natural scenery due to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farm complexes 노준희, 정일훈 p. 176-19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