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VAR 시스템의 명과 암 = Light and shadeof VAR system : from K-League referees' perspectives : K-League 심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동진, 서희진, 김기운 p. 1-13
여성 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홈-트레이닝 운동 개발 = Development of home-training exercises to improve upper function in the elderly women : using baseball massage and bare-hand exercises : 야구공 마사지와 맨손체조를 중심으로 박휴경, 이승연, 김지영 p. 15-32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녀 개인경기별 경기수준에 따른 경기력 요인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factors according to competition levels in Olympic biathlon men's and women's individual games 성봉주, 이승훈, 이종백 p. 33-44
국내 체육학 분야의 좌식 관련 연구동향 탐색 = The trend of sedentary-relat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domestic sports science : focus on academic journal researches since 2003 : 2003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이향범, 임경묵 p. 45-55
수영 리터러시의 개념 정립 및 구성요인 탐색 =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exploring components of swim literacy 이은미, 김승환 p. 57-75

6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이 럭비선수의 체간 안정성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6 weeks Pilates exercise on trunk stability and low back pain in rugby players 김지율, 김무성, 박태영, 송종국, 정현철 p. 77-87
대학 무용⋅체육 관련 실기과목에서의 학습동기유발 인식 및 교수전략 = Awareness of learning motivation and teaching strategies in practical subjects related to university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홍미성, 송남정, 조상혁 p. 89-111
언론 보도기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2020 도쿄올림픽 사회적 담론 분석 = Text mining and discourse analysis of 2020 Tokyo Olympics Game in South Korea 김남규, 김찬룡 p. 113-132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남북체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Inter-Korean sports research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안배현, 류미, 강민욱 p. 133-159
준비운동 유형이 중고등부 태권도 수련생의 유연성, 순발력 및 민첩성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the types of warm-up exercise on the flexibility, quickness and agility among takwondo trainees in middle and high school 고유지, 김정훈 p. 161-170
즐거움과 각성 및 시각적 주의가 A보드 광고 브랜드 인지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n induced pleasure, arousal and visual attention on the memory of a-board advertising : psycho-physiological approaches of the effect of sport sponsorship : 심리 생리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연구 송송미, 양홍위, 임충훈 p. 171-183

레슬링, 유도 선수 비교를 통한 씨름 선수의 체력 특성 분석 =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sireum players through comparison with wrestling and judo players 정연성, 석진수, 강성기 p. 185-194
스포츠윤리상담의 이론적 토대 연구 = Theoretical foundation for sports ethics counseling 임다연, 성경주 p. 195-206
2015 체육과 교육과정 일반내용지식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common content knowledge in the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track and field : 육상 단거리 하희문, 이정환, 이병구 p. 207-220
체육학 연구에서 선형회귀분석의 이해와 적용 =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research 홍성봉, 강성기, 신진이 p. 221-235
특수체육 전공 학부생이 수용한 진로장벽 유형과 실천적 의의 = Types of career barriers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명왕성 p. 237-250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적용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AI 서비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intention to use AI services using a value-based adoption model 사혜지, 한지훈 p. 251-260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과 정신적 강인함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Julsil,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안효연, 소영호 p. 261-277
엘리트 크로스컨트리와 바이애슬론 선수들의 환기량, 산소섭취량, 젖산염 및 심박수회복률 비교 = Compare recovery rates of ventilation, oxygen uptake, lactate acid, and heart rate in elite cross-country and biathlon skiers 성봉주, 한상근, 성은숙 p. 279-292
초등교사의 체육교과 안전영역 수업 전문성 형성과 유형 = The formation and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in safety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윤찬수 p. 293-308

일제강점기 조선 축구팀의 일본 원정 경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Chosun football team in Japanese away match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focusing on the article in 'The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 <體育と競技>의 보도를 중심으로 함장현 p. 309-320
초등 생존수영 교육과정 개발 = Developing a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 unific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 activities - assessment : 교육목표 - 내용 - 평가의 일원화 이은주 p. 321-342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교우관계 및 자리배치 변화 =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and seating arran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tudied sports broadcasting course : social network analysis : 사회연결망분석 이정환, 이병구, 하희문 p. 343-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