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국토의 약 70% 면적이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중 서울은 31% 면적이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약 1,000만 명의 높은 인구밀도의 도시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릉지의 지리적 특성상 지하철과 같은 인프라 설치가 어려우며 건축과 보행의 제약요소가 많아 도시의 질적 성장에 한계가 존재한다. 구릉지는 이런 질적 성장의 한계로 대중교통시설과의 접근성이 저하되며 저층주거 밀집의 형태로 공개공지의 면적 또한 확보하기가 어려워 이동편의가 낮은 지역에 속한다.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고령자는 신체노화로 인한 보행기능 저하와 보행특성 변화로 인해 사회활동 범위가 축소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는 구릉지를 주거지역으로 살아가는 고령자에게 더욱 가중된 불편을 야기하고 있으며 평지에 거주하는 인구보다 높은 이동성의 제약을 받으며 이것이 고령자의 이동불균형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구릉지에 거주하는 고령자의 교통시설과의 접근거리를 바탕으로 소외된 이동취약지역을 도출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공데이터에서 확보할 수 있는 서울시 내 고령자 인구분포, 대중교통시설 위치 정보 등을 토대로 GI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한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구릉지 내 고령자의 인구밀도가 높으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인 ‘이동취약지역’을 도출하여 서울시 내 이동취약지역의 특성과 현황을 분석한다. (결과) 서울시 내 구릉지 내 고령인구가 밀집하고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취약한 이동취약지역이 총 51곳이 도출되었으며 해당 지역 내 거주 고령인구는 16,773명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 자치구 25개 중 17개 자치구에 이동취약지역이 도출되었으며 가장 많은 이동취약지역을 보유한 자치구는 관악구로 총 9곳 2,418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과 고령인구의 지속적 확대는 구릉지를 이용하는 인구의 증가로 연결되며 미래 사회의 고령인구의 경제·문화·사회활동의 장애요소로 작용되어 사회적 고립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대표적인 계층인 고령자의 이동취약지역과 수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구릉지 내 교통약자의 이동권 개선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향후 장애인, 임산부, 영유아 등의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확대됨과 동시에 구릉지 내 이동취약지역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pproximately 70% of South Korea's land consists of hilly areas, with Seoul comprising 31% of hilly terrain and hosting a high population density of around 10 million peopl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pose challenges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limiting qualitative growth in the city. This results in reduced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limited open public spaces in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contributing to low mobility. With Korea on the brink of an ultra-aging society, the elderly face decreased social activities due to aging-related walking impairments. This exacerbates the challenges for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hilly terrain compared to those in flat areas, creating transportation imbalances among the elder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marginalized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s based on the access distance to transport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residing in hilly areas. (Method) Utilizing public data on th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within Seoul, spatial data will be constructed using GIS programs. Areas with high elderly population density and low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referred to as "Transportation-Vulnerable Areas," will be identified and analyzed. (Results) A total of 51 transportation-vulnerable areas were identified within hilly terrain in Seoul, with a total analyzed elderly population of 16,773 residents. Transportation-vulnerable areas were identified in 17 out of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with the district of Gwanak-gu having the highest number of transportation-vulnerable areas, totaling 9 areas with 2,418 residents.(Conclusions) The impending ultra-aged society and the expanding elderly popul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ing use of hilly terrains, potentially hindering th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future elderly population and leading to social isol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s among the elderl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improving their mobility rights within hilly terrains. The study's scope is intended to expand to include research targeting other transportation-disadvantaged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pregnant women, and infants, along with policy recommendations specifically addressing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t floor plan by the transition of times of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buildings 이서희, 김용성, 송석재 p. 11-24

동양 전통 원림의 인문학적 특성에 관한 현대적 해석 연구 = A modern study on the humanitie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oriental garden : centered on the ecological aesthetic space of Bai Juyi's poetry : 백거이의 시사(詩詞)적 생태미학 공간을 중심으로 고옥금, 최익서 p. 25-37

사용자 경험 극대화를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 A study on metaverse platform to maximize user experience : focused on affordance design : 어포던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송승원, 이정교 p. 39-50

소비자 인지행동을 고려한 VMD 어포던스 특성 연구 = A study on VMD affordanc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consumer cognitive behavior : focusing on international sports brand stores : 국외 스포츠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이민정, 윤성호 p. 51-63

다의적 공간의 ‘관념연합적 중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perposition’ of idea associations in polysemous space : 1970s and 1980s focusing on structuralist and deconstructionist design cases : 1970~1980년대 구조주의, 해체주의 설계 사례 중심으로 조연빈, 최익서 p. 65-76

소규모 전시관 및 지방의 문화 소외 지역의 전시 공간 선진화 연구 = Research of the advancement of exhibition spaces in small-sized museum and local cultural underprivileged areas : focusing on exhibition techniq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and immersive contents : 인공지능(AI) 기술과 실감 콘텐츠 전시 기법을 중심으로 이근우, 김동호 p. 77-88

GIS 분석을 통한 구릉지 고령자 이동취약지역 분석 연구 = Analysis of elderly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s in hilly terrain through GIS : a study centered on Seoull[실은 Seoul] :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종혁, 장영호, 이재규 p. 89-97

교통문화복합화 시설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ransportation-cultural complex facilities : focused on the Jeonju Bus Terminal plan :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계획안을 중심으로 장혜민, 신은기 p. 99-112

영화 「영원한 제국」의 건축 서사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narrative of the film 「Eternal Empire」 : focusing on conceptual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plans : 전통건축의 판과 칸에 대한 영화적 해석을 중심으로 장태준 p. 113-124

인터미디어 인터랙션에 의한 인터스페이스 인터랙션의 응답 = The equivalence response reaction of the interspace interaction in the intermidea[실은 intermedia] interaction 김일석 p. 125-134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핵심요소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factors of offline brand space on brand loyalt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low experience : 몰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계해, 이정교 p. 135-148

가상공간의 확장된 지각과 생성적 특성에 따른 포털 공간 디자인 = Design of portal spaces based on the extended perceptual and generative nature of virtual space 유은정, 안성모 p. 149-162

기업 경영전략 차원의 유연성에 기반한 사무공간의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space based on flexibility at the level of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한은진, 한태권, 김주연 p. 163-174

랜드스케이프 개념에서 본 소우 후지모토 건축의 판의 조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organizing plate of Sou Fujimoto architecture from the view of landscape concept 한태권 p. 175-184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한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ade design components to improve brand awareness : focusing on luxury flagship stores in China : 중국 지역의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리무저, 김경숙 p. 185-196

한옥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applying universal design to Hanok 박선희, 장영호, 김주연 p. 197-208

롤랑 바르트의 현상학적 ‘찌름(Punctum: 푼크툼)'을 통하여 본 재생건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generative architecture through Roland Barthes's phenomenological 'punctum' : focusing on the complex cultural space :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김남현, 장용순 p. 209-220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 기반, 생태친화 적응성 공간의 설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friendly adaptable space based on the idea of 'Tian Ren He Yi (天人合一)' 륙숙이, 최익서 p. 221-233

독일 바우-비오닉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German Bau-Bionik 이란표 p. 235-248

인지체험 극대화를 통한 박물관 디지털 전시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 by maximizing cognitive experience : focusing on the China case analysis : 중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장선혁, 이정교 p. 249-262

메타버스 플랫폼의 시각적 실재감 요인 간 상관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reality factors in the metaverse platform : centering on the neurological visual perception structure : 신경학적 시지각 구조를 중심으로 박혜지, 조택연 p. 263-277

공간디자인에서 비물질적 요소인 빛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light, non-material element in space design 신문영 p. 279-292

청소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완화를 위한 치유 공간디자인 = Healing space design for allevi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adolescent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sychology : 색채 심리 특성을 중심으로 장한, 이정교 p. 293-304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space in university campus 김준연 p. 305-315

이용자 중심의 메타버스 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er-centered metropolitan bus space analysi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value : 지각된 가치 특성을 중심으로 박혜지, 조택연 p. 317-330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the upcy[c]ling design of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 centering on elements of place marketing : 장소 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류충, 이정교 p. 331-345

다차원적도법을[실은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중국 공공미술 사전 평가요소의 범주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pre-evaluation elements in Chinese public art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유아문, 이현성, 김주연 p. 347-361

시각장애인을 위한 박물관 전시기법에 관한 신경학적 고찰 = Neurologic analysis on museum exhibition methods for the visually impaired 김진경, 조택연 p. 363-374

몰입형 디지털 미디어아트 전시에서의 시네필적 경험 연구 = A study on cinephilic experiences in immersive digital media art exhibitions 정가을, 이정교 p. 375-387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화장실 제품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oilet products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s 이주형, 이규일 p. 389-400

복합사회복지시설의 길찾기 지원을 위한 공간구조론 기반 사이니지 시스템의 배치 및 평가 = Arrangement and evaluation of signage system based on spatial syntax for the support of wayfinding in complex social welfare facility 조은길 p. 401-411

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시 환경조형물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environment sculptures for tourism revitalization : centering on the coastal city case : 해안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석환, 안진근, 김주연 p. 413-420

현대 뮤지엄 공간의 현상학적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henomenological expression elements of modern museum space 공순구, 김태훈 p. 421-431

중국인 국내 유학생의 대학 캠퍼스 학습 공간 이용실태 및 심리적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university campus learning space and psychological impact factors of Chinese domestic international students 경우진, 양성용 p. 433-443

서예 미학적 공간의 유형과 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oncepts of calligraphic aesthetic space : case study of Wang Shu's architectural space : 왕슈 건축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엽동주, 진제스민, 김주연 p. 445-459

예술적 대상과 움직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objects and movement 이민채, 이정교 p. 461-474

VR 콘텐츠 시각 자극 요소에 따른 각성과 반응 = Arousal and response according to visual stimulating elements in VR contents : utilizing brainwave analysis : 뇌파 분석을 활용하여 이소원, 이강현 p. 475-485

아파트단지내 필로티 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revitalizing pilotis’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배동식 p. 487-495

노후화된 구조물의 안전진단 = Safety assessment of aged structures : rapid risk evaluation using behavioral monitoring devices : 거동 측정기를 이용한 신속한 위험 평가 이원재 p. 497-507

도시재생 거점시설을 통해 본 민관파트너십 = Analysi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hrough urban regeneration hub facilities : based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서울시 1단계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이새롬, 오상헌 p. 509-520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임선희 p. 521-531

장소의 개념 변화에 따른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place identity as the concept of place changes 서동진 p. 533-542

오브제 진입에 따른 동시대 상업 공간의 시각적 헤게모니 변화 연구 = A study of the transition of visual hegemony in contemporary commercial spaces through the entry of objects 박지선, 이재규 p. 543-556

해외 공공도서관 공간구조의 특성 고찰 =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overseas public libraries : focusing on IFLA ‘Library of the Year’ winners and overseas public libraries introduced as best practices since 2018 : IFLA ‘올해의 도서관’ 수상작 및 2018년 이후 우수사례로 소개된 해외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박영애, 임채진 p. 557-568

비주얼 메타포적 표현요소가 적용된 베트남 카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Vietnam cafe design with visual metaphor expression elements 권혁진, 한혜련 p. 569-579

공공미술의 정의 및 공공미술 정책 진흥방안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public art and how to promote public art policy 박재은, 장영호, 김주연 p. 581-591

서예와 서예 작품의 관계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graphy and calligraphy works 엽동주, 진제스민, 김주연 p. 593-607

리질리언스 관점의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mplex cultural spaces from a resilience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ultural creative class : 문화적 창조계급 중심으로 진수현, 박현주 p. 609-621

유아기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 for early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이상교, 맹지윤, 최익서 p. 623-634

도시건축물 입면의 입체녹화 적용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 of multi-dimensional greening on the elevation of urban buildings 이통, 이재규 p. 635-646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elements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 focused on smart home product stores in China : 중국 스마트 홈 제품 매장을 중심으로 장정, 김경숙 p. 647-658

CMF 기반 중국 도시 내 고령자의 주택 안전성 개선 방안 연구 = Research on safety renovation planning of senior housing in Chinese cities based on CMF : taking financing housing in Guangzhou as an example : 중국 광저우 공동자금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항방연, 이선정 p. 659-673

평가그리드법의 정성 분석을 통한 대면과 비대면 협업 디자인 과정의 비교 분석 = An investigation of face-to-face and remote co-creative design processes with the evaluation grid method as a qualitative analysis 강남규, 콩탓통푼, 존슨앤드류 p. 675-684

톤레삽 호수의 지속가능한 마스터플랜 디자인 = Design of a sustainable master plan for Tonle Sap Lake 김은광 p. 685-696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 기능의 평가지표 개발 =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regenerates idle industrial facilities 장멍치, 양성용 p. 697-711

도시가로의 철도시설물 계획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in planning for railway facilities on urban streets : focused on the above-ground protrusions of the urban railway subway : 도시철도 지하철의 지상 돌출물을 중심으로 신예경 p. 713-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