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새로운 시대적 배경 아래 소비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오늘날 소비자의 요구 패턴 또한 크게 변화시켰다. 단일 마케팅 채널에만 의존하는 전략은 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이 분명해진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현대 소비문화를 선도하는 오프라인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는 차별화된 매장 경험 전략을 적극 도입하여 스토어 디자인을 혁신적으로 재해석하고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플래그십 스토어의 파사드 디자인은 건물 외부로 가장 먼저 노출된 부분이며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초기 인식을 형성하는 결정적 요소이다. 이에 기업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해 파사드 디자인을 새로운 마케팅 차별화 전략의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명품 브랜드의 오프라인 플래그십 스토어의 파사드 디자인과 브랜드 인지도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중국 지역의 명품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 사례를 기반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들을 정리하고 도출하였으며, 각 변수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2022년 중국의 명품 브랜드' 를 기준으로 상위 5개 브랜드에 해당하는 LV, Chanel, Hermes, Gucci, Dior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은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MZ 세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건물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와 브랜드 인지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 등의 통계 방법으로 가설 검증을 수행하였다.(결과) 연구 분석 결과를 통해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 중 간판, 외벽, 쇼윈도, 조명이 브랜드 인지도에 대해 명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입구는 브랜드 인지도에 대해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도는 간판>외벽>쇼윈도>조명>출입구 순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는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독특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목표로 소비자의 요구 및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의 파사드 디자인 구성 요소와 브랜드 인지도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파사드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이러한 의미 있는 시도가 향후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의 파사드 디자인 방향에 시효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apid change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in the new era has also significantly changed the demand patterns of today's consumers. It has become clear that a strategy that relies only on a single marketing channel has limitations in securing a brand's sustainable competitiveness. Amid these changes, offline luxury flagship stores leading modern consumer culture are actively introducing differentiated store experience strategies and innovatively reinterpreting and changing store designs. In particular, the flagship store's facade design is the first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is a critical factor in forming consumers' initial perception of the brand. Accordingly, companies are considering facade design as an element of a new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to build their own unique brand identit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ade design of offline flagship stores of luxury brands and brand awareness and to derive facade design components that improve brand awareness based on the facade design case of the luxury brand flagship store in China. (Method) This study organized and derived related variabl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vious research, and established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In addition, based on 'Chinese luxury brands in 2022', the top five brands, LV, Chanel, Hermes, Gucci, and Dior, were selected as research case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MZ generation consumers who have visited luxury flagship stores. A survey was conducted on building facade design components and brand awareness. Finally,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acade design components, signage, exterior walls, show windows, and lighting have a clear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wareness. Entra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wareness. The importance of influence on brand awareness was in the following order: sign> exterior wall> show window> lighting> entrance.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ade design components of the luxury flagship store and brand awareness to respond to consumer needs and market changes with the aim of building a unique and differentiated brand image of the brand flagship store and then presented a facade design guide that can be applied within the luxury flagship stor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sed to build a differentiated brand image for luxury flagship stores and strengthen brand competitivenes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meaningful attemp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irection of the facade design of luxury flagship stores in the fu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t floor plan by the transition of times of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buildings 이서희, 김용성, 송석재 p. 11-24

동양 전통 원림의 인문학적 특성에 관한 현대적 해석 연구 = A modern study on the humanitie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oriental garden : centered on the ecological aesthetic space of Bai Juyi's poetry : 백거이의 시사(詩詞)적 생태미학 공간을 중심으로 고옥금, 최익서 p. 25-37

사용자 경험 극대화를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 A study on metaverse platform to maximize user experience : focused on affordance design : 어포던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송승원, 이정교 p. 39-50

소비자 인지행동을 고려한 VMD 어포던스 특성 연구 = A study on VMD affordanc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consumer cognitive behavior : focusing on international sports brand stores : 국외 스포츠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이민정, 윤성호 p. 51-63

다의적 공간의 ‘관념연합적 중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perposition’ of idea associations in polysemous space : 1970s and 1980s focusing on structuralist and deconstructionist design cases : 1970~1980년대 구조주의, 해체주의 설계 사례 중심으로 조연빈, 최익서 p. 65-76

소규모 전시관 및 지방의 문화 소외 지역의 전시 공간 선진화 연구 = Research of the advancement of exhibition spaces in small-sized museum and local cultural underprivileged areas : focusing on exhibition techniq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and immersive contents : 인공지능(AI) 기술과 실감 콘텐츠 전시 기법을 중심으로 이근우, 김동호 p. 77-88

GIS 분석을 통한 구릉지 고령자 이동취약지역 분석 연구 = Analysis of elderly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s in hilly terrain through GIS : a study centered on Seoull[실은 Seoul] :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종혁, 장영호, 이재규 p. 89-97

교통문화복합화 시설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ransportation-cultural complex facilities : focused on the Jeonju Bus Terminal plan :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계획안을 중심으로 장혜민, 신은기 p. 99-112

영화 「영원한 제국」의 건축 서사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narrative of the film 「Eternal Empire」 : focusing on conceptual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plans : 전통건축의 판과 칸에 대한 영화적 해석을 중심으로 장태준 p. 113-124

인터미디어 인터랙션에 의한 인터스페이스 인터랙션의 응답 = The equivalence response reaction of the interspace interaction in the intermidea[실은 intermedia] interaction 김일석 p. 125-134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핵심요소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factors of offline brand space on brand loyalt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low experience : 몰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계해, 이정교 p. 135-148

가상공간의 확장된 지각과 생성적 특성에 따른 포털 공간 디자인 = Design of portal spaces based on the extended perceptual and generative nature of virtual space 유은정, 안성모 p. 149-162

기업 경영전략 차원의 유연성에 기반한 사무공간의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space based on flexibility at the level of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한은진, 한태권, 김주연 p. 163-174

랜드스케이프 개념에서 본 소우 후지모토 건축의 판의 조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organizing plate of Sou Fujimoto architecture from the view of landscape concept 한태권 p. 175-184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한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ade design components to improve brand awareness : focusing on luxury flagship stores in China : 중국 지역의 명품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리무저, 김경숙 p. 185-196

한옥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applying universal design to Hanok 박선희, 장영호, 김주연 p. 197-208

롤랑 바르트의 현상학적 ‘찌름(Punctum: 푼크툼)'을 통하여 본 재생건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generative architecture through Roland Barthes's phenomenological 'punctum' : focusing on the complex cultural space :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김남현, 장용순 p. 209-220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 기반, 생태친화 적응성 공간의 설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friendly adaptable space based on the idea of 'Tian Ren He Yi (天人合一)' 륙숙이, 최익서 p. 221-233

독일 바우-비오닉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German Bau-Bionik 이란표 p. 235-248

인지체험 극대화를 통한 박물관 디지털 전시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digital exhibition space by maximizing cognitive experience : focusing on the China case analysis : 중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장선혁, 이정교 p. 249-262

메타버스 플랫폼의 시각적 실재감 요인 간 상관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reality factors in the metaverse platform : centering on the neurological visual perception structure : 신경학적 시지각 구조를 중심으로 박혜지, 조택연 p. 263-277

공간디자인에서 비물질적 요소인 빛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light, non-material element in space design 신문영 p. 279-292

청소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완화를 위한 치유 공간디자인 = Healing space design for allevi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adolescent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sychology : 색채 심리 특성을 중심으로 장한, 이정교 p. 293-304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space in university campus 김준연 p. 305-315

이용자 중심의 메타버스 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er-centered metropolitan bus space analysi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value : 지각된 가치 특성을 중심으로 박혜지, 조택연 p. 317-330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the upcy[c]ling design of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 centering on elements of place marketing : 장소 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류충, 이정교 p. 331-345

다차원적도법을[실은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중국 공공미술 사전 평가요소의 범주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pre-evaluation elements in Chinese public art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유아문, 이현성, 김주연 p. 347-361

시각장애인을 위한 박물관 전시기법에 관한 신경학적 고찰 = Neurologic analysis on museum exhibition methods for the visually impaired 김진경, 조택연 p. 363-374

몰입형 디지털 미디어아트 전시에서의 시네필적 경험 연구 = A study on cinephilic experiences in immersive digital media art exhibitions 정가을, 이정교 p. 375-387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화장실 제품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oilet products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s 이주형, 이규일 p. 389-400

복합사회복지시설의 길찾기 지원을 위한 공간구조론 기반 사이니지 시스템의 배치 및 평가 = Arrangement and evaluation of signage system based on spatial syntax for the support of wayfinding in complex social welfare facility 조은길 p. 401-411

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시 환경조형물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environment sculptures for tourism revitalization : centering on the coastal city case : 해안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석환, 안진근, 김주연 p. 413-420

현대 뮤지엄 공간의 현상학적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henomenological expression elements of modern museum space 공순구, 김태훈 p. 421-431

중국인 국내 유학생의 대학 캠퍼스 학습 공간 이용실태 및 심리적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university campus learning space and psychological impact factors of Chinese domestic international students 경우진, 양성용 p. 433-443

서예 미학적 공간의 유형과 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oncepts of calligraphic aesthetic space : case study of Wang Shu's architectural space : 왕슈 건축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엽동주, 진제스민, 김주연 p. 445-459

예술적 대상과 움직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objects and movement 이민채, 이정교 p. 461-474

VR 콘텐츠 시각 자극 요소에 따른 각성과 반응 = Arousal and response according to visual stimulating elements in VR contents : utilizing brainwave analysis : 뇌파 분석을 활용하여 이소원, 이강현 p. 475-485

아파트단지내 필로티 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revitalizing pilotis’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배동식 p. 487-495

노후화된 구조물의 안전진단 = Safety assessment of aged structures : rapid risk evaluation using behavioral monitoring devices : 거동 측정기를 이용한 신속한 위험 평가 이원재 p. 497-507

도시재생 거점시설을 통해 본 민관파트너십 = Analysi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hrough urban regeneration hub facilities : based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서울시 1단계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이새롬, 오상헌 p. 509-520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임선희 p. 521-531

장소의 개념 변화에 따른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place identity as the concept of place changes 서동진 p. 533-542

오브제 진입에 따른 동시대 상업 공간의 시각적 헤게모니 변화 연구 = A study of the transition of visual hegemony in contemporary commercial spaces through the entry of objects 박지선, 이재규 p. 543-556

해외 공공도서관 공간구조의 특성 고찰 =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overseas public libraries : focusing on IFLA ‘Library of the Year’ winners and overseas public libraries introduced as best practices since 2018 : IFLA ‘올해의 도서관’ 수상작 및 2018년 이후 우수사례로 소개된 해외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박영애, 임채진 p. 557-568

비주얼 메타포적 표현요소가 적용된 베트남 카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Vietnam cafe design with visual metaphor expression elements 권혁진, 한혜련 p. 569-579

공공미술의 정의 및 공공미술 정책 진흥방안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public art and how to promote public art policy 박재은, 장영호, 김주연 p. 581-591

서예와 서예 작품의 관계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graphy and calligraphy works 엽동주, 진제스민, 김주연 p. 593-607

리질리언스 관점의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mplex cultural spaces from a resilience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ultural creative class : 문화적 창조계급 중심으로 진수현, 박현주 p. 609-621

유아기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 for early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이상교, 맹지윤, 최익서 p. 623-634

도시건축물 입면의 입체녹화 적용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 of multi-dimensional greening on the elevation of urban buildings 이통, 이재규 p. 635-646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elements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 focused on smart home product stores in China : 중국 스마트 홈 제품 매장을 중심으로 장정, 김경숙 p. 647-658

CMF 기반 중국 도시 내 고령자의 주택 안전성 개선 방안 연구 = Research on safety renovation planning of senior housing in Chinese cities based on CMF : taking financing housing in Guangzhou as an example : 중국 광저우 공동자금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항방연, 이선정 p. 659-673

평가그리드법의 정성 분석을 통한 대면과 비대면 협업 디자인 과정의 비교 분석 = An investigation of face-to-face and remote co-creative design processes with the evaluation grid method as a qualitative analysis 강남규, 콩탓통푼, 존슨앤드류 p. 675-684

톤레삽 호수의 지속가능한 마스터플랜 디자인 = Design of a sustainable master plan for Tonle Sap Lake 김은광 p. 685-696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 기능의 평가지표 개발 =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regenerates idle industrial facilities 장멍치, 양성용 p. 697-711

도시가로의 철도시설물 계획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in planning for railway facilities on urban streets : focused on the above-ground protrusions of the urban railway subway : 도시철도 지하철의 지상 돌출물을 중심으로 신예경 p. 713-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