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 각국의 도시 공간에는 역사와 문화가 풍부한 가로가 존재하며, 이는 도시 문화와 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도시 경제의 급격한 발전으로 그 가치와 기능이 퇴화되어 도시의 정체성이 담긴 역사 문화 구역이 사라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도시 역사의 단절, 문화 유실, 문맥 단절 등이 초래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역사문화 가로를 중점으로 장소마케팅의 개념과 특징을 통해 역사문화 가로의 디자인적 특징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국의 역사문화 가로 사례를 조사하여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장소 마케팅, 역사문화 가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따라 장소 마케팅 요소를 기반으로 역사문화 가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성에 따라 정량 분석을 위한 분석 모형을 제시하고, 집단 심층 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시행하여 선정된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활용하여 장소 마케팅 요소 중심의 역사문화 가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최종 특성을 도출하고, 장소 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역사문화 가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결과) 본 연구에서는 장소 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역사문화 가로 업사이클링 디자인 속성의 전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국, 일본, 미국, 유럽 4개의 국가를 선정하여 각국의 성공적인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사성’이 장소 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역사문화 가로 업사이클링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역사성은 도시문화를 계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며, 문화·사회·경제·환경 등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여 역사문화 가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작용하기에 특히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장소 마케팅 요소를 중심으로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 분석을 중점으로 하였다. 역사문화 가로마다 규모, 발전과정, 배경이 다르기에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정량적인 사례 분석 기준을 제시하여 장소 마케팅 차원에서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면, 장소 마케팅 차원에서 역사문화 가로의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urban areas around the world, there is a neighborhood rich in history and cultur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urban culture and vitality. However,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urban economy, its value and function have deteriorated,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containing the identity of the city have disappeared, resulting in the disconnection of urban history, cultural loss, and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throug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centering on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and based on this, investigate cas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of each country to study how to design upcycling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Method) In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design were derived as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based on the elements of place marketing according t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An analysis model for quantitative analysis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the selected cases are analyzed by conducting a group interview (FGI). Using this, the final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design are derived as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centering on place marketing elements,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upcycling design is presented as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focusing on place marketing elements. (Results) In this study, four countries were selected from Chin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o analyz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design attribut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centering on the place marketing, and the cases of upcycling as successful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in each country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istoricity'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upcycling desig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centering on the place marketing. Historicality should be reflected especially importantly as it can not only inherit urban culture, but also provide differentiated design elements to the city, and act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by cov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culture, society, economy, and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ase of upcycling design to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centering on the elements of the place marketing. Since each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has a different scale, development process, and background, if a more quantitative case analysis criterion is presented in subsequent studies to analyze the upcycling design to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in terms of place marketing, meaningful research results on the upcycling design to historical and cultural neighborhood can be derived in terms of place marketing.*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