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정신적 오염 척도(Vancouver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Mental Contamination)의 한국판 타당화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정신적 오염은 오염물질과 신체적 접촉 없이도 더러움을 느끼는 심리적 현상으로,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의 다양한 증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증상의 심각도와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정신적 오염 척도는 Rachman(2004)의 이론에 기반하여 정신적 오염 현상을 평가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역번역 방법을 통해 한국어판 정신적 오염 척도를 번안하였고, 만 16세 이상의 한국인 550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단일 구조를 확인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척도의 단일 요인 구조가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척도의 내적 일관성이 양호하였으며 수렴 타당도는 정신적 오염과 강박장애 증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지지되었다. 또한 강박장애 상위, 하위 집단 간 정신적 오염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척도의 변별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Vancouver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Mental Contamination Scale (VOCI-MC). Mental contamination is a psychological phenomenon of feeling dirty without physical contact with a contaminant. It is associated with various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and influences the severity of symptoms and treatment outcomes. We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VOCI-MC through a translation-back translation method and tes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550 Korean adults aged 16 or old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a single-factor structur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alidated the scale’s single-factor structure. The scale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correlations between mental contamination and OCD symptoms. Additionally, discrimina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the differences in mental contamination levels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of OCD sympto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13년~2022년) =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the counseling field (2013-2022) :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수진 p. 1-19

여성 상담자의 임신과 출산, 육아 경험 =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experiences of female counselors 변시영, 조민경 p. 21-56

초심상담자의 애도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novice counselors’ experiences of grief counseling 정소담 p. 57-86

한국판 정신적 오염 척도의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ancouver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Mental Contamination Scale 이우제, 김창대, 박찬훈 p. 87-106

한국판 de Jong Gierveld 외로움 척도 (K-DJGLS) 타당화 연구 = 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de Jong Gierveld Loneliness Scale for the elderly : 노인을 대상으로 주경미, 윤정혜 p. 107-124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metacognition : 역기능적 상위인지의 매개효과 정이현, 강이영 p. 125-146

코로나 학번 사회불안 경향 대학생의 포스트 코로나 시기 대학생활적응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 Post-COVID-19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VID-Class” students with high social anxiety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엄정혜, 송다인, 김단, 양은주 p. 147-175

초기 성인기 미혼 이성커플의 성역할태도가 연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heterosexual couples : an APIMeM analysis :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희재, 김보영 p. 177-204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and dating violence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moderated by gender equality attitudes : 성평등태도로 조절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심은정, 조영주 p. 205-228

대학생의 부모와의 진로조화성과 삶의 만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a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moderated by desire to please others : 타인을 기쁘게 하려는 욕구에 의해 조절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김영신, 연규진 p. 229-254

재한 중국동포의 지각된 차별감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Koreans in Korea :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self-efficacy : 이중문화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화근, 손은정 p. 255-279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치료 프로그램 개관 = Overview of adolescent non-suicidal self-injury treatment programs 장선희, 신효정 p. 281-317

심리상담 전문가 교과과정 표준을 위한 기초연구 = Basic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raining curriculum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professionals : focusing on overseas cases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정, 유금란, 허재홍, 신효정, 조효진, 서은경 p. 319-345

국내 상담심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현장업무내용에 대한 실태와 발전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ducation curriculums and field work of counseling psychologists in South Korea 서은경, 신효정, 김민정, 유금란, 허재홍, 조효진 p. 347-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