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 유자녀 부부의 일가정양립 하위유형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2009년과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2,560커플, 2,423커플)를 이용하여 유급노동인 아내와 남편의 근로시간, 무급노동인 부부의 가사와 돌봄 분담률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 유형이 아내의 상대적 소득력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연도 모두 3개의 하위유형이 도출되었다(2009년 “남편 근로, 아내 가사돌봄 전담(79.73%)”, “남편 근로, 아내 가사 전담, 부부 돌봄 분담(11.41%)”, “아내 근로, 부부 가사 분담, 남편 돌봄 전담(8.87%)”, 2019년 “남편 근로, 아내 가사돌봄 전담(46.68%)”, “공동근로, 아내 가사돌봄 전담(44.61%)”, “아내 근로, 부부 가사돌봄 분담(8.71%)” 유형). 하위유형 소속은 아내의 상대적 소득과 유의미하게 관련 있었고, 기타 관련 요인으로는 남편의 성역할인식, 미취학자녀 유무 등이 있었다. 한국 유자녀 부부의 일가족양립 형태의 변화 와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저출생 정책에서 인간 중심 패러다임 전환은 가능한가? = Possibility of a human-centric paradigm shift in low fertility policies : based on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family policies : 자녀돌봄정책의 다차원적 평가를 중심으로 류연규 p. 7-37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의 소득, 재산, 공제 및 부채에 따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cipients based on income, assets, deductions, and debts 박규범 p. 39-63
사회복지사의 자기 돌봄, 직무스트레스, 소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are, job stress, and burnout of social worker 오승환, 한은영, 김유경 p. 65-9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유자녀 부부의 일가정양립 유형의 변화와 관련 요인 분석 = How do Korea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divide labor between work, household chores, and family care? : analysis of work-family balance subtypes and associated factors using latent profile : 근로, 가사노동, 돌봄의 역할 분배를 중심으로 안미영, 최지은 p. 93-117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의료기관 의료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기관 사회복지사의 연계 및 협업 경험 = Experiences of resource linkage and collaboration between medica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social workers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임정원, 장수미 p. 119-148
청년들은 무엇을 포기하고 있는가? = What are young adults giving up? :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N-po generation with depression·anxiety and happiness : N포세대 유형과 우울·불안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이승진, 안선경, 정익중, 조윤호, 황우람, 윤송이 p. 149-175
결혼이주여성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취업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visible and invisible minority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ir employment status 신자현, 남보영 p. 177-201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 변화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ypes of depression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김한솔, 김아란, 송지은, 김지우, 홍유나, 김예지 p. 203-230
서울시 청년수당은 어떤 청년에게 효과적이었는가? = Who gets the benefits of the Seoul youth allowance? : 군집분석과 이중 차이 분석을 결합한 집단별 효과 고혜진, 변금선, 박민진 p. 231-257
사회경제적 지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ltruistic behavior : 이타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수빈, 최성언 p. 259-288
코로나19로 인해 저하된 행복감 회복이 시급한 취약 계층 지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upport for groups in urgent need of recovery of happiness lost due to COVID-19 : based on social mobility : 계층이동 가능성을 중심으로 전승유 p. 289-309
어머니의 일-가정 갈등이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problem behaviors of school-age children : 우울의 매개효과와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명철, 김재승 p. 311-339
공개입양 결정 이후 입양부모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doptive parent's experiences following a disclosed adoption decision 최유정, 홍나미, 정익중 p. 34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