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의 민족어별 분포를 고찰하고 유입된 중국어의 유형을 알아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滿洲國 蒙政部調査科에서 1935년에 편찬한 『蒙古地名ノ解說』에 수록된 촌락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屬性 요소를 기준으로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에는 몽골어가 415개, 達斡爾語가 2개, 索倫語가 8개, 滿洲語가 5개, 通古斯語가 1개, 西藏語가 2개, 中國語가 30개로 모두 463개가 존재했다.

415개 몽골어 촌락명의 일부는 『蒙古秘史』에서도 지명으로 사용된 어휘를 보존하고 있음을 밝혔다. 415개 몽골어 촌락명은 屬性 요소나 類型 요소가 동일한 한자로 音借 표기되지 않고, 다양한 한자로 표기되었음을 밝혔다.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에 유입된 중국어의 유형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몽골어를 한역한 촌락명이다. 둘째는 屬性 요소는 중국어이나 類型 요소는 몽골어인 촌락명이다. 셋째는 유입된 중국어 촌락명이다.

유입된 중국어 촌락명의 유형을 통하여 ‘王府, 廟, 司門, 衙門’ 등의 村落名 類型 요소는 정치 제도적인 동력으로 興安省 소속 村落名에 유입된 사실을 인식하였고 ‘營房, 營子, 窩堡, 窩棚, 卡, 堡, 屯, 站, 城子趾’ 등은 군사 제도적인 동력으로 興安省 소재 村落名에 유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金廠, 莊, 街’은 경제생활의 측면에서 興安省 소재 村落名에 유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대 한국어 단위사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ancient Korean unitizer : 통일신라시대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이용규 p. 5-36
<禱千手大悲歌>의 해독과 해설 = Deciphering and commentary on Docheonsudaebiga(禱千手大悲歌) 김지오, 최연식, 김성주 p. 37-76
파전 김무조 소장 『능엄경』의 구결 연구 = 坡田金戊祚所蔵『楞嚴經』の口訣研究 : 해석구결을 중심으로 정은영 p. 77-109

고문서 이두의 어휘 = Idu's vocabulary in old documents before 1910 : focusing on the Idu of noun classes and verb classes : 명사류·동사류 이두를 중심으로 조남곤 p. 111-166
<풍산 류씨 류사춘가 언간>의 기초적 고찰 = 「豊山柳氏柳師春家諺簡」の基礎的考察 : 柳澐の諺簡と李之億の諺簡を中心に : 류운 언간과 이지억 언간을 중심으로 鄭敬在 p. 167-210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의 민족어별 분포와 유입된 중국어 촌락명의 유형 = Distribution of village names (村落名) in Heunganseong, Manjuguk (滿洲國 興安省) by ethnic language in 1935 and the types of village names introduced from Chinese : 언어 지식 문화 접촉에 따른 언어 변화의 동기 및 결과와 관련하여 李建植 p. 211-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