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의 민족어별 분포를 고찰하고 유입된 중국어의 유형을 알아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滿洲國 蒙政部調査科에서 1935년에 편찬한 『蒙古地名ノ解說』에 수록된 촌락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屬性 요소를 기준으로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에는 몽골어가 415개, 達斡爾語가 2개, 索倫語가 8개, 滿洲語가 5개, 通古斯語가 1개, 西藏語가 2개, 中國語가 30개로 모두 463개가 존재했다.
415개 몽골어 촌락명의 일부는 『蒙古秘史』에서도 지명으로 사용된 어휘를 보존하고 있음을 밝혔다. 415개 몽골어 촌락명은 屬性 요소나 類型 요소가 동일한 한자로 音借 표기되지 않고, 다양한 한자로 표기되었음을 밝혔다.
1935년 滿洲國 興安省 소속 村落名에 유입된 중국어의 유형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몽골어를 한역한 촌락명이다. 둘째는 屬性 요소는 중국어이나 類型 요소는 몽골어인 촌락명이다. 셋째는 유입된 중국어 촌락명이다.
유입된 중국어 촌락명의 유형을 통하여 ‘王府, 廟, 司門, 衙門’ 등의 村落名 類型 요소는 정치 제도적인 동력으로 興安省 소속 村落名에 유입된 사실을 인식하였고 ‘營房, 營子, 窩堡, 窩棚, 卡, 堡, 屯, 站, 城子趾’ 등은 군사 제도적인 동력으로 興安省 소재 村落名에 유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金廠, 莊, 街’은 경제생활의 측면에서 興安省 소재 村落名에 유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