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인호(崔仁浩, 1945~2013)의 『상도』(1997)는 조선시대 실존인물인 ‘임상옥’의 일대기를 통해 당시 의주상인의 ‘상도’에 대해 되짚고, 1999년 현재 임상옥을 동경하는 기업 총수 ‘김기섭’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경제의 신철학’으로서 상도商道를 제시하겠다는 집필 의도를 내세운다. 하지만 『상도』에서는 유독 여성 인물이 돈으로 거래되거나, 남성 인물들의 이야기 전개를 위한 도구에 그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또한 상도를 종교적 도리와 동일시하면서 상도가 과연 ‘경제적’ 철학이 맞는지, 그리고 ‘신’철학이 맞는지 의문을 낳기도 한다.

이에 본고는 『상도』 속 여성 인물 구현 방식 및 ‘상도’의 제시 양상 등을 분석하여 『상도』가 가지고 있는 보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텍스트가 제시하는 이상적 가치관으로서의 상도는 친절, 신용, 의리를 기본 규칙으로 하는, 의에 의한 활인도로서의 거래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도를 종교적 교리와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텍스트는 상도의 상징인 임상옥을 우상화한다. 그런데 과거 역사 서술 방식, 외화와 내화 사이의 관계, 여성 인물의 형상화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 『상도』가 제시하는 상도가 남성중심적 시선에 기반한 보수적 가치관의 반복일 뿐임을 확인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함형수 시 연구 = A study of Ham Hyung-su's poetry : focusing on works prior to emigrating to Manchuria : 만주 이주 이전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봉준 p. 9-31

박노해 시의 변모와 항상(恒常) = Transformation and permanence in Park No-hae's poetry : focused on 'anti-capitalism' : ‘反자본주의’를 중심으로 최명국 p. 33-53

사진의 사(私/史)적 표상과 양식화된 반(反)문화성 = The historical/personal representation and stylized anti-culture of photography : focusing on Kim Yeon-soo's novels, 『If the waves are the work of the sea』, 『Whoever you are, no matter how lonely you are』 : 김연수의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중심으로 권경미 p. 55-73

신자유주의적 SF와 포스트휴먼 시대의 노동 = Neoliberal science fiction and labor in the posthuman era 김경민 p. 75-102

마녀, 광녀 그리고 병원체로서의 여성 = Woman as witch, madwoman, and pathogen : focusing on short stories written by Lee Seo-Su, Ahn Bo-Yun, and Koo Byung-Mo : 이서수, 안보윤, 구병모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양윤의 p. 103-129

『상도』 속 신(新)철학의 보수성 = The conservatism of 'new philosophy' in 『Sangdo』 : focusing on idolization patterns and the way female characters are presented : 개인 우상화 양상 및 여성 인물 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염수민 p. 131-161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돌봄과 돌봄관계의 의미 = The meaning of care and caring relationship in Oh Jeong-hee's novel 정미진 p. 163-186

소지류 한문산문의 표현 기법과 글쓰기 전략 = Expression techniques and writing strategies of Chinese literature in petition : focusing on practical text collection 『Byunjungmoon』 : 실용문 용례집 『변정문(卞正文)』을 중심으로 김도형 p. 187-213

완판 방각본 <별월봉기> 연구 = A study on woodblock print Byeol-Wolbonggi published in Jeonju 전상욱 p. 215-243

<단군신화>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장소의 기호학적 분석 = Semiotic analysis of transmedia storytelling spaces using <Dangun Myth> : focusing on the 'TEMPLE OF UNGNYEO' cafe : 카페 <웅녀의 신전>을 중심으로 박성혜 p. 245-268

일제 시대 상업출판의 식민적 자생력 = Colonial self-reliance of commercial publish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Samjungdang : 삼중당서점을 중심으로 문경연 p. 269-292

현행 문학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운영전> 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appearance and tasks of <Unyeong-jeon(雲英傳)> education discussed through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정상원 p. 29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