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곡선추정 회귀분석을 활용한 레크리에이션 문화와 진지한 여가의 지각된 가치 간 최적 모형 탐색 = Exploring the optimal model betwee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the perceived value of serious leisure using curve estimation regression analysis 김태환, 이유진, 황선환 p. 1-16

체대 입시생들의 자기관리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김범준 p. 17-32
진지한 여가와 진지한 여가 비용의 관계 검증 =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serious leisure cost 김자현, 김태환, 황선환 p. 33-46
운동 발달단계에 따른 초기 아동기 피겨스케이팅 학습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figure skating program by the motor developmental phase 박도현, 여지은, 신규리 p. 47-62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아웃도어 레저 연구동향 규명 = Research trend of outdoor leisure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김경식, 김옥현 p. 63-77

Stacey의 의사결정 이론에 근거한 e스포츠 교육커리큘럼 발전 방안 = Development of the esports education curriculum: Stacey’s decision-making theory 박성희, 서형석, 박세진 p. 79-91
스포츠와 지속가능한 경영 = Sports and sustainable management : current status and policy reflections on ESG in sport : 스포츠 ESG의 현황과 정책적 고찰 최주현, 박무성, 엄진종 p. 93-113
전자기기 탐지를 위한 특수목적견 훈련 성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raining performance of special purpose dog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s : focusing on digital sex crimes : 디지털 성범죄를 중심으로 김민철, 주성빈 p. 115-130

대학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만족도, 지속향유의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 of percep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cultural arts enjoyment, clas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njoyment 김수은, 김현수, 곽남미 p. 131-145
지역사회 아동을 위한 ICT 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CT play program for local community children 김미량, 이명하, 장윤호 p. 147-15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피지컬 리터러시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The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physical literacy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김대경, 이현수, 박진우, 최유경 p. 159-173

무용 분야에서 무형문화재법 ‘전형’의 의미 = A study on the meaning of 'archetypes' i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ct in the field of dance 이미희 p. 175-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