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8세기에 완성된 한양도성 – 북한산성 - 탕춘대성으로 이어지는 서울특별시의 관방유적(關防遺蹟)이 2022년 12월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관방유적의 주요한 공간은 서울과 북한산이다. 서울은 전근대시기 북한산군 남평양 양주 목멱양 남경 한양부 한성부라 불렸다. 북한산은 부아악 삼각산 화산(華山) 등으로 불렸다. 이 글은 서울과 북한산의 다양한 역사를 시기별로 검토했다. 검토한 시기는 삼국시기에서 19세기 후반까지로 제한하여 고찰했다. 구체적으로 삼국시기 북한산과 한강이 지니는 전략적 가치, 고려시기 양주의 위상과 남경을 중심으로 한 수도 천도론, 조선시기 한양 천도와 이에 따른 한양 도성, 북한산성 및 탕춘대성의 수축과정과 의미를 고찰했다. 이를 통해 서울과 북한산이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또한 고찰하려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울과 북한산의 역사와 가치 = The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Seoul and Bukhan Mountain 박종기 p. 1-25

북한산의 역사 유적과 발굴 현황 = Historical relics and excavations of Bukhansan Mountain : 북한산성과 탕춘대성을 중심으로 조치욱 p. 29-69

북한산에 건립된 사찰의 시대별 추이와 특징 =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s built in Bukhansan Mountain 이계형 p. 71-107

근대 서구인의 한양도성-북한산성 인식과 함의 = The perception and implications of Hanyangdoseong and Bukhansanseong among Westerners in the modern era 황선익 p. 109-134

울주 천전리 서석의 大朗銘 검토 = A study on the 'Daerang' in Seoseok, Cheonjeon-ri, Ulju 여성구 p. 135-168

가야 사물국의 역사적인 성격 = History of the Kingdom of Samul, a maritime kingdom 김재홍 p. 169-204

무령왕과 왕비의 상장례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Some issues regarding the funeral rite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나희라 p. 205-240

나당전쟁기 칠중성 전투의 의미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e Battle of Chiljungseong in the Silla-Tang War 윤성호 p. 241-269

863년 신라 細羅國人의 일본 표착 사건 補考 = A complementary paper on the Japanese coast drift of the Silla people(細羅國人) in 863 : 『都氏文集』의 기사를 소재로 이재석 p. 271-294

고려 후기 權守平 家門의 성장과 그 시대적 의미 = The growth of Kwon Soo-pyeong's family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최기준 p. 295-333

18세기 북한산성 관리체계의 변화와 총융청의 재정운영 = Changes in the management system of Bukhansanseong and the financial operations of the Chong’yung-cheong in the 18th century 최주희 p. 335-382

1839년(헌종 5) ‘己亥邪獄’의 전말과 그 추이 = The whole story and development of The Gi’hae-year Purge of Evil(‘己亥邪獄’) in 1839(5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 : examination of interrogation of foreign “Yanghan[洋漢]” people and Yu Jin-gil(劉進吉) : 서양인[洋漢]·劉進吉 추국 사건을 중심으로 김정자 p. 383-427

일제하 대만총독부의 원주민 인구 파악과 인구 통계 = Grasping population of raw aborigines and compiling statistics on raw aborigines by th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in colonial period : with preliminary comparison with demographic statistics of colonial Korea : 일제하 조선 인구 파악과의 비교를 겸하여 문명기 p. 429-475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지정제도 시행과 운영 실태 =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syste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정서율 p. 477-513

1960년대 혁신계의 동향과 김성숙의 정치활동 = The movement of innovators in the 1960s and the political activities of Kim Seong-sook : 1964년 혁명일기 분석을 중심으로 정계향 p. 515-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