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판소리에서 표현되는 발림의 형태를 라반 움직임 분석법을 활용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판소리 발림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움직임 형태를 살펴보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판소리 사설과의 연계를 통해 발림 표현의 정형화 혹은 개인화를 도출할 수 있다. 연구 진행은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 중 형태적 측면(Shape)만을 중점으로 살펴봤다.

이를 통해 연구대상자가 행하는 움직임이 때로는 사설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묘사해 보여주기도 하고, 때로는 연행자의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하기도 하고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행위 모두 움직임을 통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다. 각각이 다른 이유로 움직임이 행하여졌지만 이러한 행위 모두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으로 활용되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판소리 연행에서 나타난 움직임은 라반의 움직임 개념처럼 소통적 의미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연예술인 판소리의 경우 소리만큼 움직임의 중요성도 부각될 필요가 있다. 움직임에는 많은 의미성을 담고 있다. 따라서 무대 즉 청중이 있는 공연예술에서 움직임의 표현은 언어만큼 중요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하기에 움직임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연을 통한 <흥보가> 다시 읽기 = Re-reading Heungboga through performance : focusing on Heungbo's Wife's Divorce Lawsuit Case : <흥보마누라 이혼소송사건>을 중심으로 이경화 p. 5-34

여성 연출가들의 창극 연출과 그 의의 = Directing Changgeuk by female directors and their significance : focusing on the works of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 국립창극단 작품을 중심으로 김향 p. 35-77

국악과 대중음악의 크로스오버에 활용된 판소리의 양상과 의미 = The aspect and meaning of pansori used in the crossover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opular music : focusing on the music entertainment show Pungryu Daejang(JTBC, 2021) : 음악 예능 <풍류대장>(JTBC, 2021)을 중심으로 송소라 p. 79-111

판소리 공연의 기획·연행·감상의 역학 = The dynamics of planning,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in Pansori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2023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the World Pansori Festival, and the K-VOX Festival :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월드판소리페스티벌, K-VOX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김희선 p. 113-146

라반 움직임분석법(LMA)을 활용한 판소리 발림 연구 = Research on Pansori pronunciation using Laban Movement Analysis(LMA) 박미 p. 147-168

농악에서 제금(바라) 연주의 유래와 기능 = Origin and function of Jegeum(Bara) performance in Nongak : focused on Gyeonggi province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시지은 p. 169-205

소멸 위기의 단가(短歌) <남한산성>의 구성 변이와 전승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variation and transmission plan of Danga Namhansanseong 김삼진 p. 207-241

<엿타령>의 노랫말 구성과 음악적 특징 = Study of lyric composit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affy Sellers' Songs 이정민 p. 243-278

김기수 『한국민요오십곡집』의 장단 및 오선 박자표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hythms and staff notation of Fifty Korean Folk Songs by Kim Ki-Soo 이지예 p. 279-309

남원 지역 극장의 역사와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mwon regional theater 김남석 p. 311-341

공연장 무대용어 初探 = Theater stage terminology initial exploration : focusing on '上手' and '下手' : 상수, 하수를 중심으로 서정환 p. 343-378

1970년대 여성 대학생의 연극 경험과 ‘여대생 관객’의 형성 = The theater experi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form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 audience' in the 1970s 김태희 p. 379-409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에 나타나는 좀비의 특성과 의미 = Zombie depictions and significance in the drama Memories of the Alhambra 구자준 p. 41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