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설화 반응을 통해 본 자기애 성향 참여자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활용 =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ith narcissistic tendencies through the responses to folktale and literary therapy 김정애 p. 9-41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인문학적 치유책으로서 역사기억 서사 매핑(mapping) 방법론 = Historical memory narrative mapping methodology as a humanistic remedy for historical trauma 남경우 p. 43-79
세월호 생존자의 치유-과정적 자기 서사 = Healing-procedural self-narrativ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survivors : focused on "speak" and "address" : ‘말하기’와 ‘말걸기’를 중심으로 임지연 p. 81-109

이인(異人) 설화 <짐승 말 알아듣는 사람> 속 범인(凡人)의 좌절과 성장 서사 탐색 = Exploring the frustration and growth narrative of an ordinary person in the eccentric's tale "The Man who Understands the Language of Beasts" 강새미 p. 111-145
공간이동과 회귀구조로 본 소설 『호랑이의 눈』의 상실 = The loss-mourning epic of the novel Tiger Eyes seen through spatial movement and regression structure : 애도서사 김경희, 김혜미 p. 147-190

속 봉석과 아기장수의 서사 비교를 중심으로"> <아기장수> 설화를 활용한 자기탐색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elf-exploration method using the story of "Baby General(Agijangsu)"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narrative between Bongseok in the webtoon "Moving" and the Baby General(Agijangsu) : 웹툰 <무빙> 속 봉석과 아기장수의 서사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혜 p. 191-219
지리지(地理志)에 기록한 전란(戰亂)의 공간적 치유와 그 의미 = Spatial healing and its meaning of the war as recorded in geology : Hong Gyeong-mo, Jungjeongnamhanji : 홍경모(洪敬謨)의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를 중심으로 박소영 p. 221-244
<지장본풀이>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투기된 타자 = A study on the aspects of violence and the abandoned other in "Jijang-bonpuri" 신호림 p. 245-272
『어린이』에 수록된 동요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구 = A study for the aspect and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ong in 『Eorini』 : 악보가 있는 동요를 중심으로 정한기, 김용재 p. 273-303
1960년대 문화방송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의 문화적 위상 = Cultural status of the 1960s cultural broadcasting radio drama 'Three Thousand Miles Following the Legend' : a comparison with Dongailbo's legendary seri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전설연재물과의 비교를 통해서 최원오 p. 305-376

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in-between) = Between literary therapy and literary education : separately and together :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 염은열 p. 417-450
대안적 상담론으로서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세계화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globalization and development of literary therapeutic theory as an alternative counseling theory : focusing on the future-oriented memory creation through literature : 문학을 통한 미래지향적 기억 창출 방안 나지영 p. 377-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