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의 근대 문학이 20세기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지만, 고전문학의 주요 작품들은 여전히 일제 강점기에도 활발하게 향유되었다. 18세기 후반부터 거세게 밀어닥친 근대화의 물결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 ‘척사(斥邪)’와 ‘개화(開化)’라는 상반된 의식이 대두하였다. 당시 활동하던 문인들의 한시 작품들에는 이러한 상반된 경향이 ‘우국(憂國)’ 혹은 ‘애국계몽(愛國啓蒙)’이라는 주제로 집약되어 표출되었다.

특히 이러한 주제의 한시 작품들은 신문을 비롯한 다양한 지면을 통해서 발표되었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한시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검토함으로써, 당대에 대한 시대 인식의 양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신문과 잡지에 수록된 한시에 대한 소개와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반면에 일제 강점기 동안 한시를 창작했던 문인들의 문집과 한시의 작품 세계에 양상에 관해서는 연구 성과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일제 강점기 문인들의 한시 창작에 관한 양상의 일단을 살펴보기 위해, 여기에서는 벽소(碧笑) 이영민(李榮珉, 1882∼1964)의 문집 『벽소시고(碧笑詩稿)』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벽소시고』에는 120수가 넘는 이영민의 한시 작품이 수록되어 있기에, 이 문헌의 검토를 통해 당시 한시 작가들의 활동과 작품 세계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영민은 일제 강점기에 순천에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이며, 순천 지역에서 농민운동에 뛰어들어 소작쟁의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같은 기간 동안 한시를 창작하면서 문집을 엮어냈지만, 이영민의 문인으로서의 면모는 아직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영민은 일제 강점기에 전통 예술인들을 순천으로 불러 공연을 주선하였고, 그들의 음악에 대해 한시를 창작하여 그것을 배경을 사진을 찍어 남기기도 했다. 그는 문인으로서 자신이 창작한 한시를 엮어『벽소시고』라는 문집을 편찬했다. 여기에서는 이영민의 문집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제목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이와 함께 각각의 항목의 특징을 검토함과 아울러 일부 작품들을 제시하면서 작품 세계를 논하였다. 또한 당시의 신문 기사들을 검색하여 이영민의 활동 양상을 재구하여 소개하고, 『벽소시고』의 편제와 수록 작품의 면모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오횡묵(吳宖黙)의 『고성총쇄록(固城叢瑣錄)』 소재(所載) 한시 연구 = A study on Sino-Korean poems in Oh Hoeng-muk's 『Goseong Chongswaerok』 김미선 p. 5-33

홍언 노인시조에 나타난 노년의식과 표현방식 = The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of old age in Hong Eurn's elderly sijo 김아연 p. 35-60

『벽소시고(碧笑詩稿)』의 편제와 이영민 한시의 특징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Byeoksosigo(碧笑詩稿)'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e Youngmin's Chinese poetry 김용찬 p. 61-89

高峰 詩의 文學的 特性 硏究 = A study on literary characteristics in Gobong's poetry : 品格을 中心으로 김진욱 p. 91-114

향유층의 시선을 통해 본 <한양가>의 당대적 의의 = The significance of "Hanyangga" at the time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enjoyment class 박은빈 p. 115-138

신재 최산두 한시를 통한 인문학적 문화콘텐츠 구축 방안 = A strategy to build humanistic cultural content through Shinjae Choi San-du's classical Chinese poems 백숙아 p. 139-165

<쌍화점>의 장소성과 대화 맥락 = The placeness and conversation context of <Ssanghwajeom> 신재홍 p. 167-192

박인로(朴仁老)의 전란 체험과 <선상탄(船上歎)>의 의미 지향 = Park In-ro's experience of war and the meaning orientation of <Seonsangtan> 이승준 p. 193-221

옥봉 백광훈의 풍류와 제화시 = Okbong Baek Gwang-Hun's elegant taste and Jehwasi 황수정 p. 22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