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모옌 문학은 그 분량의 방대함, 내용과 형식의 풍성함과 다채로움으로 인하여, 그리고 그의 창작이 중국사회와 문화 전반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이루어져 왔기에, 모옌 문학의 정수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고는 중국의 모옌 연구를 참고하여 모옌 문학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정리함으로써 이후 모옌 문학에 진입하는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옌 문학은 그의 어린시절 굶주림과 외로움의 경험을 원천으로 하고 있는데, 그것은 각각 모옌에게 비참하고 고통스런 현실을 인식하게 하고, 작가 내면에서 비롯되는 상상의 세계를 구축하게 하였다. 둘째, 모옌이 파악한 현실은 인간 본성의 惡을 정시하게 하였으며, 그의 상상력은 감각을 통한 세계 인식을 통하여 현실적이지만 비현실적인 문학을 창조하게 하였다. 셋째, 모옌문학은 일반적으로 역사를 새로 쓰고, 민간의 입장을 보여준다고 해석되는데, 사실 그것은 모옌이 집단적 보편성의 높이에 이르기까지 자기의 개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인간 내면으로부터 생명력의 원천을 발견하고 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이상의 내용은 중국연구를 바탕으로 정리한 일종의 가설이며, 이후 본격적인 작품읽기를 통해 모옌문학에 대한 독자적인 이해를 수행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바이그램(bigram) 분석을 통한 《전당시》 상용 어휘 연구 = A study on the common vocabularies of ‘The Complete Tang Poems’ by the bi-gram analysis 김준연 p. 1-23

명청 교체기 조선 대명해로사행노선 중 山東 濟南府 長山縣 내 지명 고찰 = A study on the spots around the Changshan County(長山縣) in the prefecture of Jinan(濟南府) of Shandong(山東) on the shipping route of Joseon(朝鲜) envoys during the alternation of Ming(明) and Qing(淸) Dynasties 王珂, 한종진, 당윤희 p. 25-57

모옌(莫言) 문학의 구성요소에 대한 시론 = An essay on the components of Mo Yan’s literature : based on the studies of Mo Yan’s literature in China : 중국의 모옌 연구를 참고하여 이선옥 p. 59-76

영화 <내가 날 부를 때(我的姐姐)>에 드러난 여성의 곤경과 그 의미 = The plight of women in the movie Sister and its meaning 권도경 p. 77-91

明清白话小说中“是日”与“一日”的篇章功能差异 = A comparative study on discourse functions of “Shi ri” and “Yi ri” in Ming-Qing fiction 王贝贝 p. 93-110

근대 시기 서양 선교사의 西南官話 관련 사전류 문헌 연구 = Compilation of Southwestern Mandarin dictionaries by Western Missionaries in the modern era : a study of Paul Perny’s Dictionnaire français-latin-chinois de la langue mandarine parlée (1869) and Appendice du Dictionnaire français-latin-chinois de la langue mandarine parlée (1872) : Paul Perny의 Dictionnaire français-latin-chinois de la langue mandarine parlée(1869)와 Appendice du Dictionnaire français-latin-chinois de la langue mandarine parlée(1872)를 중심으로 노혜정 p. 111-136

한중 번역에서의 인칭대명사 주어 처리 양상 대조 = Contrasting the processing of personal pronouns in Korean-Chinese translation : focusing on the novel 「Plaza Hotel」 : 소설 《프라자호텔》을 중심으로 임소정, 이아형 p. 137-159

신경망 언어 모델 구축을 통한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어순 수용성 예측 연구 = A study on predicting the word order acceptability of Chinese sentence-initial multiple arguments by building a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박정구, 유수경, 박민준, 강병규 p. 161-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