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매개분석은 상담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연구방법론의 하나이다. Baron과 Kenny(1986)의 접근을 기본으로, 최근에는 다중매개, 조절된 매개와 같은 확장된 모형이 국내의 많은 상담연구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인과추론(causal inference) 연구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인과매개분석(causal mediation analysis)의 내용과 성과는 상담연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매개효과의 정의 및 추정을 선형적 모형에 근거하고 있는 전통적인 접근과 달리, 인과매개분석은 매개효과의 본질에 집중하여, 그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어떠한 가정과 분석이 필요한지에 관한 정교한 논의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인과매개분석의 관점에서 볼 때, 국내 상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매개분석 시 통제변수의 활용, 원인변수-매개변수 간 상호작용, 민감도 분석에 대해 논의한다. 최근 개발된 인과매개분석 통계패키지를 활용한 상담연구 분석의 예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이러한 인과매개분석 접근이 상담 분야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Mediation analysis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research. In addition to the basic approach outlined by Baron and Kenny (1986), various extensions, including multiple mediators and moderated mediation, have been actively applied in numerous counseling studies in Korea. However, causal mediation analysis, developed by causal inference researchers since the 2000s, remains relatively unfamiliar to counseling researchers in terms of its content and accomplishments.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 that defines and estimates mediating effects relying on simple linear models, causal mediation analysis focuses on the nature of mediation, providing a sophisticated discussion of what it is and what assumptions and analyses are needed to identify it. From the perspective of causal mediation analysis, this paper discusses the use of control variables, treatment-mediator interac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in mediation analysis, which have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Korean counseling research. We provide an illustrative example of counseling research analyses using a recently developed statistical package for causal mediation analysi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causal mediation approach for counseling researc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담연구에서 매개분석의 엄밀성 제고 = A brief introduction to causal mediation analysis for rigorous counseling research : 인과매개분석의 소개 김용남, 인효연 p. 1-21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김세종, 홍혜영 p. 23-40

공격성 문제를 가진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전문상담사의 상담관계 경험 = A study on counseling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counselor for children with aggressive behaviors : for professional counselors before entering the skillful period : 숙련기 진입 전 전문상담사를 대상으로 이미영, 한재희 p. 41-68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상담추구행동 장애요인 = Barriers to counseling-seek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work stress and burnout 주소현, 김동일 p. 69-92

대학생의 학업 관련 사회비교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ocial comparison motives scale in academic contexts of college students 이지영, 장유진 p. 93-115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분석(2008∼2022) = Trends analysis of domestic group counseling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s analysis(2008∼2022) 권경인, 김민향 p. 117-143

진로 및 직업상담에서의 사회정의 옹호상담의 필요성과 실천과제 = Necessity and practical task of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in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한지영, 이제경 p. 145-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