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역할극 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역할극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 발달 단계에 대한 검토와 역할극 활용 가능성, 한국어 교재 내 역할극 활동 양상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역할극은 말하기 활동으로 활용도가 높은 활동이며,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역할극의 본래 취지와 특성에 맞추어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고려할 점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부분을 살피고 향후 역할극을 구성할 때 한국어의 발달 단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역할극의 요소와 고려할 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층한자어 음운현상 연구 =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base Sino-Korean words : focusing on Zhu Xi's annotation : 朱熹의 四書集註 출현 한자어를 대상으로 양순임 p. 5-31

통합 요소의 음절 수에 따른 보조사 용인성 검토 = Th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he syllable of preceding elements of delimiters and their acceptability : focusing on the syntactic realization in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 보조용언 구성에서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신현규, 김수영 p. 33-62

문법 모형에서 어휘선택 이전 ‘의도 접합부’ 고려의 필요성 =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intentional interface' prior to lexical selection in grammatical models 정대식 p. 63-89

한국어 '보다' 구문과 중국어 '看' 구문의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boda’ construction and the Chinese ‘kan’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ambiguity of modality : 양태의 중의성을 중심으로 다이야난 p. 91-124

전라남도 방언구획을 위한 계량적 연구방법 탐색 =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sub-dialect division of Jeollanam-do : using Levenshtein distance and phonological network analysis : 레벤슈타인 거리와 음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정성훈 p. 125-153

부산 지역 대학가 주변의 언어 경관 (linguistic landscape) 고찰 = A study on the linguistic landscape surrounding the Jangjeon Campu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 주변을 중심으로 강은지, 김태호 p. 155-179

텔레비전 광고에 담긴 담화·사회문화적 수행 분석 = An analysis of discussion and socio-cultural performance in television advertisements : focusing on the ideological change of the couple's role in the 'Bacchus' commercial : ‘박카스’ 광고 속 부부 역할의 이데올로기 변화를 중심으로 박지수 p. 181-210

교사의 준언어·비언어 의사소통 교육 연구 = A study on teacher's semi-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the use of AI interview systems :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 분석과 AI 면접 시스템 활용을 중심으로 김윤정 p. 211-238

학문 목적의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research trends 정희택, 김영선 p. 239-275

한국어 교재 내 역할극 활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role-play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박진욱 p. 277-304

근대 시기 서양인 한국어 학습자 관점에서의 한국 문화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Korean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learners of Korean in the modern era 박은미 p. 305-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