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옥외폭로시험 전통 단청시편의 색변화에 대한 다양한 환경인자의 영향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통 단청시편 9종(석간주, 진사, 황토, 자황, 웅황, 석록, 뇌록, 석청, 백토)을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 숭례문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각각 비가림 옥외폭로하고 누적 자외선량을 기준으로 주기별 색도 측정과 기상요소, 가스상 오염물질, 총부유분진(TSP), 강하분진(Dustfall)에 대한 모니터링, 포집, IC분석을 수행하였다. 측정 및 분석값을 가공 후 피어슨 상관분석법으로 전통 단청시편의 색차와 환경인자간의 선형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성 분석결과, 전통 단청시편의 색차는 기상요소 중 일사량, 자외선량, 증발량과의 강한 양의 선형 상관성이 국립문화재연구원시편 6∼8종, 숭례문시편 6종에서 확인되었다. 가스상 오염물질중 SO₂, O₃와의 강한 양의 선형 상관성이 숭례문시편에서만 각각 1종 확인되었고, 총부유분진의 이온농도중 NO₃⁻, SO₄²⁻, K⁺, Mg²⁺, Ca²⁺과의 강한 양의 선형 상관성이 국립문화재연구원시편에서 만 4종 확인되었다. 강하분진의 이온농도 중 SO₄²⁻, NO₃⁻, Ca²⁺과의 강한 양의 선형 상관성이 숭례문시편 5∼7종, 국립문화재연구원시편 1∼5종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Na⁺, Cl⁻와의 강한 양의 선형 상관성이 숭례문시편 2종에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한 결과, 기상요소 중 자외선량과 강하분진 중 NO₃⁻, SO₄²⁻, Cl⁻농도가 단청시편 색변화에 가중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lor change of outdoor exposed dancheong specimens. From 2017 to 2019, nine traditional Dancheong specimens(Sokganju, Jinsa, Hwangto, Jahwang, Wunghwang, Seokrok, Noerok, Seokcheong, and Baekto) were exposed to Sungnyemun Gate(SNG)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as conditions for blocking rainfall, respectively. Subsequently, chromaticity measurements were conducted periodically, and monitoring, collection, and IC analysis of meteorological elements, gaseous pollutants, TSP and Dustfall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s,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difference of the traditional dancheong specimen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meteorological elements, the linear correlation of strong positive between solar radiation, UV radiation, and evaporation was confirmed in 6-8 of the NRICH specimens and 6 of the SNG specimens. Among the gaseous pollutants, a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SO₂ and O₃ was confirmed only by the SNG specimens, Among the ion concentrations of TSP, four types of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s between NO₃⁻, SO₄²⁻, K⁺, Mg²⁺, and Ca²⁺ were confirmed only in the specimen of the NRICH. Among the ion concentrations of Dustfall, a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SO₄²⁻, NO₃⁻ and Ca²⁺ was found in 5-7 of SNG and 1-5 of the NRICH, and in particular, a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Na+ and Cl- was found in 2 of the SNG specime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ultraviolet dose among meteorological elem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NO₃⁻, SO₄²⁻, and Cl⁻ in the dustfall act as accelerating factors in the chromaticity change of the dancheong specime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딥러닝 기반 석탑 손상 자동 탐지 및 시각화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utomatic detection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stone pagoda damage based on deep learning 이정민, 유정민 p. 338-349

휘발⋅탈색된 문서의 디지털 복원 = Digital restoration of volatilized⋅faded documents 이상화, 나미선 p. 350-358

고해상도 GPR 탐사를 이용한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벽구조 진단 = Diagnosis of wall structure of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using high-resolution GPR exploration 오현덕, 정혜영, 권문희 p. 359-368

한국 깃털 문화유산 보존처리를 위한 조사 분석 및 복원 기술 동향 = Feather analysis and restoration techniques trends for conserv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featherwork 안보연, 박성희, 김샐리건희 p. 369-385

아라가야 생산유적 출토 도질토기(함안양식토기)의 제작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eramic-quality pottery from Aragaya (Haman-Style pottery) : focused on excavated artifacts from Ugeo-ri kiln site Ⅴ in Haman : 함안 우거리 토기요지 Ⅴ 출토품을 중심으로 박영아, 한우림 p. 386-400

창덕궁 성정각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 =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elements in Seongjeonggak of Changduk-palace, Seoul, Korea 이광희, 김수철 p. 401-407

함안 말이산 8호분 말 갑옷 제작기법 연구 = The technology study on horse armor excavated from Tomb No.8 of the ancient tumuli in Marisan, Haman 한우림, 박지연, 박영아, 김소진 p. 408-426

건축문화유산 보수용 석회의 찹쌀풀 첨가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 및 모르타르 강도 특성 = Microstructure and mortar strength characteristic of lime added with glutinous rice paste used for repairing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안선아, 김은경, 강소영 p. 427-437

서울 공평구역 유적 출토 신주(神主)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ancestral tablet excavated from the site of Gongpyeong, Seoul 박지현, 조아현, 박수진 p. 456-463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원상 보존 원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 state principles of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Wonju Beopcheonsa Temple site : focusing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announcements of the charters of ICOMOS : 이코모스 헌장 선언문 분석⋅적용을 중심으로 이태종, 조하진, 안용수, 김건화 p. 464-473

저습지 출토 수침고목재의 미생물 분해 특징 및 미생물 군집 분석 =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decay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excavated from the wetland 김민석, 임주원, 차미영, 김종식 p. 474-488

전북지역 보존유적의 현황조사를 통한 활용성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utilization and improve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preserved remains in Jeollabuk area 위광철 p. 489-504

옥외폭로 전통 단청시편의 색변화와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분석 =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lor chang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raditional Dancheong specimens with outdoor exposure 김명남, 김지선, 정혜영, 김사덕, 이선명 p. 505-526

단방향암호화를 활용한 뉴미디어 영상작품의 무결성검증방법 적용연구 = A study on the integrity verification method of new media video works using one-way encryption 정다연, 이의천, 권인철 p. 527-535

백토바탕칠과 호분바탕칠이 전통단청 채색층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white clay- and oyster shell powder-ground layering on the painting layer stability of traditional Dan-Cheong 정선희, 이화수, 한규성 p. 536-544

보물 불랑기자포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Bullanggi Japo cannon, treasure 유하림, 이재성, 박영환 p. 545-571

근대건축물에 도장된 페인트의 재료적 특성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paintings in modern buildings : focusing on Seoul Weather Station : 서울 기상관측소를 중심으로 김다슬, 김은아, 김규호 p. 572-588

천주교 동산문화유산 분류체계 및 보존관리 방안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preservation management of Catholic moveable cultural heritage 최규리, 이상옥 p. 589-600

서천 장암진성 부지 내 제철유적 출토 슬래그 분석을 통한 제련온도 연구 = A study on smelting temperature through analysis of slag excavated from iron manufacturing remains on site of Jangamjinseong in Seocheon, Korea 박준영, 조남철 p. 601-612

북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생물 분포 및 보존현황 = Microorganism distribution and preservation status of mural paintings in the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정용재 p. 613-620

채색문화유산 디지털 사진의 색재현을 위한 영향 인자 분석과 최적 방법론 연구 = Study on influence factor analysis and optimal methodology for color reproduction of digital photography of painted cultural heritage 김영환, 조영훈 p. 621-631

경도 조절이 가능한 토기 복원용 에폭시의 제조 및 특성 =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hardness controllable epoxy for restoration of earthenware 박민선, 위광철 p. 632-639

충청남도 기독교 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방안 = Conservation status and scheme of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n Chungnam Province, Korea 이찬희, 박보영 p. 640-656

반사율변환이미징을 활용한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표면손상 분석 = Analysis of surface damage on the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in Yeongju using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technology 민지현, 정혜영, 김설희, 문혜영, 전용재 p. 438-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