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가 행정기관으로서 다양한 홍보 사업을 진행하는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유튜브 홍보 콘텐츠와 콘텐츠 이용자 반응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홍보 사업 진행을 위한 전략적 제언을 제시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방통위의 홍보 영상 제목과 소개글을 분석하여 유튜브에서 형성되는 홍보 담론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자들의 댓글에서 나타나는 담론과 비교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방송통신위원회’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504개의 영상과 이에 달린 8,114개의 댓글 데이터를 수집 하였으며, 이들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위 50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초 통계 분석과 키워드 빈도 및 중요도 분석을 통해 지난 5년간의 홍보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유튜브 정책 홍보 전략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빈도수 측면에서 방통위는 기관명과 기관 서비스를 중심으로 많이 언급하여 홍보하려 했지만, 콘텐츠 이용자들은 기관에 대한 관심보다는 개별 홍보 사업 주제와 해당 홍보 콘텐츠/캐릭터에 대해 더 큰 관심을 보였다. 2) 빈도수측면에서 방통위 기관명은 상대적으로 이용자 댓글에서 많이 언급되지 않았지만 댓글에 대한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 방통위 기관명은 긍정적인 감정 언어와 같은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방통위의 유튜브 홍보 활동이 기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텍스트 마이닝과 구조적 등 위성 분석 결과 모두에서 지난 5년간 유튜브 이용자들로부터 가장 좋은 반응을 이끌어낸 홍보 사업은 노년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사업으로 나타났다. 4) 스팸 방지와 중고폰 보상 제도와 같은 미디어 이용자 보호 및 혜택 부여와 관련된 홍보 사업들은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에, 장애인 미디어 접근성 홍보, 미디어 관련 직업 소개, 지역 광고 활성화와 같은 사업들은 방통위의 주요 홍보 담론에는 포함 되었지만 주요 이용자 담론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5) ‘할담비’, ‘팽수’, 그리고, ‘박말례 할머니’와 같이 인기 있는 기존 유튜브 캐릭터를 활용한 사업이 이용자들의 주요 담론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기소개서에서 양면적 메시지 효과 = Two-sided message effect in self-introduction letter : focusing on the ratio and import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 긍・부정적 정보의 비율 및 중요도를 중심으로 이현수, 정세훈 p. 7-51

대학생이 인식하는 MZ세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 MZ generation : with a focus on the debate topic "the MZ generation lacks etiquette" : 토론 논제 ‘MZ세대는 예의(禮儀)가 없다’를 중심으로 정효진 p. 53-114

공익광고의 유용성이 기후 변화에 대한 공익광고 이원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sefulness on dual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on climate change : a focus on college student' perception :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전종우, 배경석 p. 115-138

인스타그램 포스트가 대학 운동선수들의 내재적 운동 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stagram posts on the intrinsic sport motivation of student-athletes :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hope : 희망의 매개와 성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정 p. 139-171

사회(적) 변증법적 모순과 긴장의 관점에서 본 재난 피해 지역 공동체 회복 과정 =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would make sense of a community recovery program after they have experienced a traumatic disaster : analyzing the Ansan-si community recovery program-focused interview text via dialectical tension framework : 4.16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시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참여자 인터뷰 분석 김영훈, 이은경 p. 173-208

고화질 영상시청 경험이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개선에 미친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high-definition video viewing experience on the improvement of post-traumatic stress(PTSD) due to COVID-19 : focusing on the resilience of video viewing stimuli and the analysis of brain wave bio-signals : 영상시청 자극에 대한 회복탄력성과 뇌파 생체신호 분석을 중심으로 한예진, 최영준 p. 209-243

언론인의 괴롭힘과 트라우마에 대한 경험이 언론 역할에 대한 인식 및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journalists' experiences of harassment and trauma on their perception of their journalistic role and job satisfaction 김활빈, 표시영 p. 245-284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방송통신위원회 유튜브 채널 홍보 담론 및 콘텐츠 이용자 반응 분석 = Big data analysis of contents and user comments on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s YouTube channel 김현정, 김지윤 p. 285-325

코로나19에서의 부정적 감정, 정보 불충분성, 정보 추구로의 경로 이해 = Understanding pathways to negative emotions, information insufficiency, and information seeking in COVID-19 : focusing on multi-group analysis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trusted information channels : 정치 성향·신뢰하는 정보 경로의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박혜영 p. 327-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