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경리(2017).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전환학습이론을 기반으로-. 교육문화연구, 23(5), 169-197. |
미소장 |
2 |
김주희, 고석영, 이한결(2021). 그렇게 대학원생이 되었다: 세 교육인류학도의 교육 생애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24(3), 115-148. |
미소장 |
3 |
김지현, 문한나, 성문주, 손수진, 이정은, 한유리(2013). 고등교육맥락에서 본 학습자의 전환학습 경험에 대한 자기 성찰적 보고. Andragogy Today, 16(2), 31-57. |
미소장 |
4 |
김태훈, 김영순(2019). 다문화교육론 수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교육문화연구, 25(3), 795-812. |
미소장 |
5 |
문지윤(2019).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교육학 박사과정 대학원생의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1073-1101. |
미소장 |
6 |
미셸 푸코(2016). 비판이란 무엇인가. 오트르망 심세광, 전혜리 (역) (1978/1983). 파주: 동녘. |
미소장 |
7 |
박순용, 장희원, 조민아(2010).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교육인류학연구, 13(2), 55-79. |
미소장 |
8 |
이동성(2015). 생애사 연구.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9 |
이인수(2020). 교육계열 대학원생의 과제 의미 인식과 질적연구방법론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29-58. |
미소장 |
10 |
이정현, 박대원(2021). 스포츠 교육학 초보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8(2), 167-194. |
미소장 |
11 |
조용환(2012).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2 |
철학아카데미(2013).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 파주: 동녘. |
미소장 |
13 |
한유리(2020a). 질적 연구 입문. 서울: 박영story. |
미소장 |
14 |
한유리(2020b).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서울: 박영story. |
미소장 |
15 |
한유리(2022). 차근차근 자문화기술지. 서울: 박영story. |
미소장 |
16 |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한유리 (역) (2017). 서울: 박영story. |
미소장 |
17 |
Davis, B., Sumara, D., & Luce-Kapler, R. (2008).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 한숭희, 양은아 (역) (2017).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8 |
Eisner, E. W. (1994). 인지와 교육과정. 박승배 (역) (2014).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9 |
Ellis, C. & Bochner, A. P. (2000). Autoethnography, personal narrative, and personal reflexivity.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pp. 733-768). Thousand Oak, CA: Sage. |
미소장 |
20 |
Geertz, C. (1973). 문화의 해석. 문옥표 (역) (2012). 서울: 까치. |
미소장 |
21 |
Hayano, D. M. (1979). Auto-Ethnography: Paradigms, problems, and prospects. Human Organization, 38(1), 99-104. |
미소장 |
22 |
Jonassen, D. H., & Land, S. M. (2000). 학습자 중심 학습의 연구·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김현진, 정종원, 홍선주 (역) (2012).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3 |
Johnson. D. W., & Johnson, R. T. (2002). 다문화교육과 인간관계. 김영순 외 11인(역) (2010).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4 |
Kvale, S. and Brinkmann, S. (2009). InterViews: Learning the Craf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2nd Edition. London: Sage. |
미소장 |
25 |
Reed-Danahay, D. (1997). Anthropologists, Education, and Autoethnography. Reviews in Anthropology, 38(1), 28-47. |
미소장 |
26 |
Thoreau, H. D. (1854). 월든. 강승연 (역) (1999). 서울: 이레.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