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상현, 김진수(2019).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중학교 기술교사의 메이커 교육 관심도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4(2),104-122. |
미소장 |
2 |
고병철, 한선관(2021)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21, 29-43 |
미소장 |
3 |
K교육청(2021). K교육통계연보 |
미소장 |
4 |
교육부(2020). 2020 업무계획. |
미소장 |
5 |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https://www.moe.go.kr(2022. 12. 24. 검색) |
미소장 |
6 |
교육부(20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보급 환경은 개선되고 있습니다. https://www.moe.go.kr(2023. 5. 22. 검색) |
미소장 |
7 |
김동환(2022).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한 유아 교사의 현황과 인식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27(1), 167-190 |
미소장 |
8 |
김병기(2022).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9 |
김성렬(2015). 초, 중등교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태도, 스마트교육의 속성, 활용의지 및 지각된 유용성, 용이성에 관한 인식.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0 |
김소망, 이정민(2021). 초등교사의 AI활용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1325-1351. |
미소장 |
11 |
김영록, 김재현(2014). 초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 활용의도에 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5), 35-42. |
미소장 |
12 |
김진솔, 이정민(2020).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SW교육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8), 75-87. |
미소장 |
13 |
김태령, 류미영, 한선관(2020).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초연구.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1(1), 31-42. |
미소장 |
14 |
김태령, 한선관(2020).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40(3), 181-204. |
미소장 |
15 |
김현진, 박정호, 홍선주, 박연정, 김은영, 최정윤, 김유리(2020). 학교 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공학연구, 36(3), 905-930. |
미소장 |
16 |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2022). 디지털교육활성화를 위한 주요 의제 분석. http://eduvision.go.kr(2022. 12. 24. 검색) |
미소장 |
17 |
류미영, 한선관(2018). 초등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17-324. |
미소장 |
18 |
박홍희(2005). 교사의 발달 단계에 기초한 연수를 통한 경력개발-HRD관점에서. 교육연구논총, 26(2), 1-19. |
미소장 |
19 |
박소영(2004). 인터넷활용수업의 확산모형 탐색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0(3), 3-17. |
미소장 |
20 |
서순식(2011).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265-275. |
미소장 |
21 |
성태제, 시기자(2020). 연구방법론(3판).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2 |
심우엽, 류재경(1994). 초등학교 교사 발달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교육연구, 12, 3-24. |
미소장 |
23 |
윤성혜, 강우리(2018). 교사의 앱 개발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5), 509-517 |
미소장 |
24 |
이경순, 한승연, 문대영(2014). 혁신의 확산 이론을 통해 본 블렌디드 러닝의 수용과 채택. 교과교육학연구, 18(4), 1347-1381. |
미소장 |
25 |
이상기, 권민화(2014).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2), 258-294. |
미소장 |
26 |
이수영(2020). AI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인식. 한국초등교육, 31, 15-31. |
미소장 |
27 |
이승용(2017). 특수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 활용실태 및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8 |
이연승, 양다경(2016).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629-652. |
미소장 |
29 |
이철현(2020).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 분석. 실과교육연구, 264, 1-20 |
미소장 |
30 |
조소영, 조규락(2012). Rogers의 혁신의 확산 이론에 기반한 초등학교 교사의 e-러닝 확산과 채택. 교육공학연구, 28(2), 409-438. |
미소장 |
31 |
주용진, 유장순(2014).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3), 231-254. |
미소장 |
32 |
한선관, 류미영, 김태령(2020). AI 사고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경기: 성안당. |
미소장 |
33 |
한형종, 김근재, 권혜성(2020).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47-56. |
미소장 |
34 |
홍선주, 조보경, 최인선, 박경진(2020). 학교 교육에서 인공지능(AI)의 활용 방안 탐색(RRI 2020-2).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35 |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
미소장 |
36 |
Hall, G. E., George, A. A., Rutherford, W. L. (1977).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he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미소장 |
37 |
Hord, S. M., Rutherford, W. L., Huling-Ausin. L., Hall, G. E.(1987). Taking charge of change. ASCD, 125 N. West St., Alexandria, VA 22314-2798. |
미소장 |
38 |
Rogers, E. M. (2005). Diffusion of innovations. (김영석, 강내원, 박헌구 역, 2005). 개혁의 확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39 |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425-478.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