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한국 현대 오컬트를 한국적 특수성을 지닌 리얼리즘 서사로 보고, 〈곡성〉, 〈검은 사제들〉, 〈사바하〉 세 편의 작품을 통해 이를 증명하려고 하였다. 한국 현대 오컬트는 고도의 전술로 사회적 서사를 신비주의 서사로 위장한다. 리얼리즘 서사는 인물의 시대적 전형성, 전망 제시, 작품의 사회적 효용성으로 요약되는 특징을 지닌다. 한국 오컬트는 이러한 특성을 고스란히 지니면서 한국적 유토피아를 전망으로 제시한다. 이는 텍스트 자체를 고도의 상징체계로 위장하면서 시대적 전형성을 지닌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디스토피아적 세계를 그려내는 것으로 나타난다. 때문에 이렇게 구축된 텍스트가 전달하는 주제는 지극히 사회적이며 공리적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특성을 2015년 이전에 등장한 한국 오컬트 영화에서 찾기는 어려우므로, 〈검은 사제들〉이후의 한국 오컬트를 이전의 한국 오컬트와 구분하기 위해 ‘한국 현대 오컬트’로 구분하여 부를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 현대 오컬트의 경우 철학적, 신학적 메시지가 아니라 사회적 메시지가 더 강력하다. 이들이 비판하고 바로잡고자 하는 대상은 5천만 인구의 1/5을 차지한다고 여겨지는 기독교도들이다. 이는 오컬트의 일반적 특성이 아니라 한국적인 특수성이며, 우리의 정신적 위치를 알려주는 좌표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오컬트는 사회적 상상력을 담은 장르로 성장 중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 오컬트는 여전히 진행형의 장르이다. 가장 디스토피아적 세상에서 유토피아를 꿈꾸는 서사, 그것이 오컬트이기 때문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현대 오컬트의 특성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Korean occult : dreaming of utopia in a dystopian world : 디스토피아적 세상에서 유토피아 꿈꾸기 김경애 p. 7-30

<투 러버스 (Two Lovers)>, 고전주의와 하이퍼-텍스트의 절합 = <Two Lovers>, an articulation of classicism and hyper-text 김채희 p. 31-53

항일전쟁에 대한 두 가지 영화적 재현 = Two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the Chinese people's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aggression : focusing on spatial images of <Eight Hundred Heroes>(1976) and <800>(2020) : <팔백영웅>(1976), <800>(2020)의 공간 이미지를 중심으로 문단, 정태수 p. 55-76

앙드레 바쟁 영화 존재론에서의 반인간중심주의의 논리 구조 분석 = An analytical study on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anti-anthropocentrism in André Bazin's film ontology 신양섭 p. 77-100

시네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 Developing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improving cineliteracy skills : focusing on a three-year community college film production department : 3년제 전문대학교 영화영상과를 중심으로 이도균 p. 101-121

시네마-거울 속 거울-이미지 = Mirror-images in cinema-mirror : focusing on the otherized body images of TGNC characters in <Tomboy>(2011) and <Girl>(2018) : 영화 <톰보이 (Tomboy)>(2011)와 <걸 (Girl)>(2018)에 나타난 TGNC 인물의 타자화된 몸 이미지를 중심으로 최민정, 배상준 p. 123-155

영화사적 관점에서 본 1970년대 초 할리우드 영화 속 인공지능 로봇의 양상 = A study on the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n Hollywood films of the early 1970s from a film history perspective 함충범 p. 157-177

북한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발전 과정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orth Korean digital animation 홍주옥 p. 179-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