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다양한 뉴노멀이 등장하고 있는 이때에 교회력을 거론한다는 것은 자칫 시대착오적인 발상으로 보일 수 있다. 팬데믹과 엔데믹을 지나 엔데믹 블루시대를 맞이한 현재 상황에서는 교회력 자체의 중요성이 약화되거나 평가절하하려는 경향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시간이 하나님의 창조물이며, 기독교가 시간을 중요시하는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들조차 시간의 효율성에 속박되어 세상의 시간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는 ‘분초사회’라는 용어처럼 시간을 아끼고 밀도 있게 사용하기 위해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려는 현대인의 경향도 일조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비록 크로노스라는 세상의 시간을 살아가지만 어떻게 해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받은 은혜를 계속 기억하면서, 하나님의 시간인 카이로스를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 주제는 초대 교회를 거쳐 4세기에 이르기까지 확립된 교회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재정립을 통해, 첨단 기술을 통한 즉시성의 문화와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하고 과격하게 진행되는 극한적 속도의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시간의 항상성을 일깨우자는 것이다. 그리하여, 유한한 시간 속에서도 무한한 카이로스를 지향하며 살아가게 하는 영구적 은총의 수단이 바로 교회력임을 재확인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는 문헌조사방법론을 사용하며,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역사신학과 법학과의 간학문적인 연구 방법을 시도한다. 다음으로는, 성 어거스틴의 시간론이 가장 잘 나타난 『시간과 영원』을 중심으로, 교회력에 담긴 시간의 항상성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볼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이미 시간의 항상성 가운데 하나님의 시간에 맞춰 살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처 인지하지 못한 작금의 기독교인들에게 교회력과 시간의 항상성에 대한 참된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각자의 뉴노멀을 어떻게 정립하여 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제언으로 마치게 될 것이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various new normals are emerging, discussing the church year may seem like an anachronism. This is becaus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we have passed the pandemic and the endemic and entered the endemic blue era,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weaken or devalue the importance of the church year itself. Although time is God's creation and Christianity is a religion that values ​​time, the reality is that even Christians are bound by the efficiency of time and live in the time of the world.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individual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ime in order to save it and use it densely, like the term ‘minutes and seconds society’, also contributes to this. In this reality, although Christians live in the world's time called chronos,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how to continue to remember the grace received in Jesus Christ and properly live kairos, God's tim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culture of immediacy through cutting-edge technology and an era of extreme speed that progresses more rapidly and radically than ever before, through the correct recognition and re-establishment of the church year established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4th century. The goal is to remind living Christians of the constancy of time centered on Jesus Christ. Thus, we would like to reaffirm that the church year is a means of permanent grace that allows us to live toward infinite kairos even in finite time. To this end, this study uses a literature survey methodology as a whole, and although it is only a small part, it attempt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 from the departments of historical theology and law. Next, I will examine how important the constancy of time contained in the church year is, focusing on Time and Eternity, which is best expressed in St. Augustine's theory of time. Thus, even though they are already living according to God's time in the constancy of time, it enables Christians of today who were unaware of it to rediscover the true meaning of the church year and the constancy of time, and further, through this, each person's new normal. I would like to end the discussion with suggestions on how to live by establishing thi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례와 견신례에서 성령의 인침과 성령의 은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aling of the holy spirit and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in baptism and confirmation 김명실 p. 7-37

성만찬 성례전 기억의 의미 = The meaning of remember of the sacrament of Eucharist,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Bible and neuroscience : 성서와 신경과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나인선 p. 39-64

예배에서 시편창 활성화 방안 = Methods to promote Psalm singing in worship 이상일 p. 65-90

교회력에 나타난 시간의 항상성 연구 = A study on the constancy of time appeared in the church year 유재원 p. 91-113

발달장애인의 신앙적 상호교류와 교회 공동체의 예배와 설교에 관한 목회적 과제 = Pastoral tasks related to mutual religious exchang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orship and preaching in the church community 김병석 p. 115-140

설교 선포에서 회중역할의 상호주관적 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subjective change of congregational role in sermon proclamation : meeting of sermon and counseling : 설교와 상담의 만남 김양일, 이신형 p. 141-164

북미 흑인 설교가 한국 교회에 주는 설교학적 함의 = Homiletical implications of African-American preaching for the Korean church : focusing on the homiletical theology of Henry H. Mitchell : 헨리 미첼 (Henry H. Mitchell)의 설교신학을 중심으로 조형진 p. 165-189

성경에 대한 설교자의 변혁적 참여 = A transformative engagement with the scriptures as a hermeneutic for the preacher 한우리 p. 191-210

팬데믹 상황에 대처방안으로서의 수도원 영성 = As a response to the pandemic situation monastic spirituality 윤성민 p. 211-234

‘마음 챙김’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indfulness : focusing on Christian :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조한상 p. 235-268

참회(Beichte), 신적인 도움의 선물인가? 쓸모없는 역사적 전통인가? = Beichte, a gift of divine help? A useless historical tradition? : based on Bonhoeffer’s understanding : 본회퍼의 이해를 중심으로 강안일 p. 269-297

칼 구스타프 융(C.G. Jung)의 “사위일체”(quaternio) 연구 = A study of C.G. Jung's "quaternio" (the quaternity) 김윤정 p. 299-326

생명-삶의 공명적 이해와 목회적 돌봄 = Consonant understanding of life and pastoral care 최창국 p. 327-352

희생제의와 구약시대 제의와의 비교"> 가족 상실 트라우마와 상징적 심리치유 과정의 희생제의 = The sacrifice of family loss trauma and symbolic psychological healing process : comparison between the film "Midsommar" sacrifice and the Old Testament ritual : 영화 <미드소마> 희생제의와 구약시대 제의와의 비교 최지원 p. 353-377

다윗의 삶 속에 비친 이야기 정체성 = Narrative identity reflected in David’s life 최사랑 p. 379-405

『룻기』에 나타난 룻의 삶의 심리적 주제 및 자기 = The psychological theme of Ruth’s life and self in the Book of Ruth 정성원 p. 407-436

칼 융(Carl G. Jung)의 개성화 과정 성찰을 통한 영적 성장 = A study on spiritual growth through reflection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of Carl G. Jung : applicability of the theory of conscientization of unconsciousness : 무의식의 의식화 이론 적용 가능성 임현우 p. 437-460

교회학교 교육자를 위한 TPACK 모델 = TPACK model for church school educators 김수환 p. 461-489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웹툰의 교육적 활용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webtoons in Christian education : focusing on the meta-analysis :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박미라 p. 491-518

챗GPT 활용과 교육적 과제 = The utility of ChatGPT and educational challenges 박진경 p. 519-5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됨을 위한 연민교육 = Compassion-cultivation education for human-becoming in the post-human age : education for connecting with the sacred, rediscovering subjective self, and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others : 거룩한 실재와의 연합을 위한 교육, 주체적 자기(Self)발견의 교육, 타자의 고통에 참여하는 교육 양성진 p. 545-575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 방법 연구 = A study on ecological education methods for cultivating ecological sensitivity 박미경 p. 577-598

기독교성품형성에 있어서의 이야기의 의미 = The meaning of stories in Christian character formation : focusing on Stanley Hauerwas : 스탠리 하우어워스를 중심으로 하세례 p. 599-622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 연구 = A study on missional approaches to the next generation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이병옥 p. 623-651

켈트 기독교 공동체를 통해 본 공유와 협력 강화를 위한 공동체 선교 패러다임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ty missions paradigm for strengthening sharing and collaboration through Celtic Christian communities 황병준, 이상호 p. 653-679

하나님 나라 성장을 위한 참된 교회의 길, 사도적 선교적 교회 = The way of the true church for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God, the apostolic missional church 김신구 p. 681-706

이방인으로서의 타자를 위한 환대 담론 = A discourse of hospitality for the other as a stranger : focusing on Derrida and the Apostle Paul’s cosmopolitanism : 데리다와 사도 바울의 세계시민주의를 중심으로 신문궤 p. 707-735

칼빈의 제네바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통해 본 한국교회에 주는 통찰 = An insight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Calvin's community welfare practice in Geneva 나경훈 p. 737-759

나노사회에서 공동체 리빌딩 = Community rebui[l]ding in nano society 조성돈 p. 761-783

물질(Matter)과 물질화(Materialization)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기독교 윤리적 의의 = Christian ethical significance and theological reflection on matter and materialization 김은혜 p. 785-811

디지털 전환 시대의 목회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사례 = A case study on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for ministry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김효숙 p. 813-836

길선주 목사의 『해타론』(1904)과 『만사성취』(1916)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실천적 삶 = The practical Christian life in Seon-Ju Gil’s Hetaron(1904) and Mansaseongchwi(1916) 안수강 p. 837-861

기독청년의 신앙 = Christian faith of Korean young adult Christians : image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Korean churches : 한국교회의 이미지, 경험, 기대에 대하여 이민형 p. 863-888

멀티태스킹 중독 예방과 회복을 위한 목회적 방안 = Pastoral options for prevention and recovery from multitasking addiction 민장배, 이수환 p. 889-915

서번트 리더십이 신앙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spiritual maturity : 삶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매개로 사역자와 기독 청소년 비교를 중심으로 박군오 p. 917-938

다중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한국교회를 위한 목회 신학적 성찰 =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s for the sustainable Korean church in the age of polycrisis : focusing on ESG ministry : ESG 목회를 중심으로 홍창현 p. 939-961

차이와 다양성의 평화적인 공존 = Peaceful coexistenc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 beyond Habermas’ critical theory :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을 넘어 김진훈 p. 963-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