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일본 정치사회의 보수·우경화의 현상을 젊은 세대의 탈이데올로기화와 자기중심화로 촉발되는 정치사회의 분극화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일본 정치사회의 보수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2000년대 이후 개혁 추진과 탈이데올로기화는 일본 정치사회의 공간을 보수 중심으로 재편시켰으며, 우파적 이념과 정책이 대표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구조 측면에서 보수 편향의 분극화가 일본 정치사회의 보수·우경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보수지배의 지속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보수·우경화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젊은 세대의 현실주의화는 안정된 정치의 요구로 나타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개혁보수에 경도됨으로써 보수세력이 일본 정치사회 전면에 자리 잡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일본 정치사회의 보수·우경화가 단지 정치엘리트의 보수화만으로 한정될 수 없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나일강 수자원 분쟁과 공생의 길 = Nile water conflict and the path to coexistence :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 한반도에 주는 함의 권영승, 나용우 p. 1-29
북한의 대남 심리전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North Korea's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leaflets' distributed in 2016 : 2016년 살포된 ‘삐라’를 중심으로 권오국 p. 31-61
관광과 국제정치 = Tourism and international politics : "tourism and peace" and "securitization of tourism" : ‘관광과 평화’ 논의와 ‘관광의 안보화’ 논의 김석우 p. 63-90
동북아시아 평화공생체를 위한 새로운 공간정치의 모색 = Exploring a new spatial politics for a community of peace and symbiosis in Northeast Asia 김현주 p. 91-110

일본 정치사회의 보수화 구조, 탈이념화와 분극화 = Structure of conservative shift in Japanese political society, de-ideologization and polarization 윤석상 p. 111-137

어떤 민주시민인가? 민주시민의 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 연구 = What kind of democratic citizens? A study on high school 'Politics and Law' textbooks according to types of democratic citizens 정상호 p. 139-174
챗GPT 이용 경험자의 ‘인간-AI’ 협업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human-AI"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ose who have used chat focusing on service and user variables : 서비스와 이용자 변인을 중심으로 최종환 p. 175-212

방송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구 = Research on the diversity of current affairs and reporting programs in broadcasting : focusing on the properties of the panel : 패널의 속성을 중심으로 홍주현, 조인숙, 이종임 p. 213-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