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사이버대학교 학습자 관련 선행연구를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으로 분석하여 학습경험을 이루는 주요 요소와 관계를 구조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학습(자)’ 관련 논문 7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중심으로 보았으며 주요 키워드인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학습자, 온라인교육에 관해서는 에고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결과 사이버대학+학습자 관련 연구의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본 결과 가중 연결성 부분에서는 학습성과, 실재감, 자기주도성, 만족도, 학업지속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의 상위 3개 키워드인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습자, 온라인교육을 대상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 에고 네트워크는 학습성과, 학업지속, 실재감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이버대학이 20살을 맞이하면서 성숙기로 돌입하고 있다. 그동안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양상도 다변화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다양성과 그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여 그들이 겪고 있는 학습 곤란함을 처방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이버대학 연구에 있어서 온라인교육의 특성과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와 외로움 경험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res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loneliness on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in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and experience of anxiety disorder : 잠으로 피로회복, 불안장애 경험의 매개효과 이지현, 위옥연 p. 1-16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nnected educ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by elementary teachers 이재창 p. 17-39
기계번역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한 고등학생용 인공지능과 영어 교과 융합 교육 콘텐츠 타당성 검증 = Validation of converged teaching material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nglish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machine translation literacy 정윤경, 김귀훈 p. 41-51

간호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수행능력 차이 분석 = Analysi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career choice in nursing students 이윤지 p. 53-62
중장년 직장인의 노후생활인식이 퇴직태도와 라이프스타일 및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tirement life perception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on retirement attitude, lifestyle, and retirement preparation 박화자 p. 63-78
1998-2021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 국내 학술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of divers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uring 1998-2021 구정민, 강은주 p. 79-96
한국형 과도한 남성성 척도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unmitigated agency scale (KUAS) 김하서, 김지현 p. 97-108
인공지능 기반 심리상담에 활용되는 딥러닝 기법 고찰 = A study on deep learning techniques used i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정여주, 신윤정, 백재순, 유수진 p. 109-131
대학생 TBL⋅PBL 학습 과정에서 팀 내 과업 갈등이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task conflict on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environments : testing a cross-level moderation with relationship conflict : 관계 갈등의 다수준 교차 조절효과 분석 최성원 p. 133-148
직장-가정 간 전이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나혜숙 p. 149-167
맹자의 본성 이론에 기반한 지혜교육 방법론 = The methodology of education for wisdom based on Mencius's theory of human nature 서명석 p. 169-183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 잠재집단에 따른 진로적응력의 차이 =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by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the predictors : 예측요인의 영향력 검증 박지현, 유지영, 변외진, 허무녕 p. 185-200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아동기 역경 경험 유형 분류 = Latent class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esteem, GRIT and relation with teacher : 자아존중감과 그릿, 교사와 관계의 차이 배근정, 허무녕 p. 201-216
먹방시청 정도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relation to their Mukbang(eating show) watching : utilizing the 18th Annual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of 2022 : 18차(2022년) 청소년 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위옥연, 이지현 p. 217-229
은유 분석을 활용한 유아 교사들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multimedia using metaphor analysis 김태영, 하민경 p. 231-249
상호동료 교수법이 모의 TOEIC 점수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the improvement of mock TOEIC scores : a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백선숙 p. 251-265
빅데이터에 나타난 유아 코딩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 Changes in social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revealed in big data 신지민, 김길숙 p. 267-287
대졸 청년층의 대학 재학 중 일 경험이 첫 일자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school work experience on first job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 applying causal forests : 인과 포레스트 적용 장은아, 정혜원 p. 289-304
고등교육 수준 학습인정의 상반된 두 논리 = Two conflicting logics of higher-level learning recognition 이은정 p. 305-326

PBL(문제기반학습)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es on the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서울소재 H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이정표 p. 327-343
초등 학생들의 필기 능력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반 광학 문자인식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handwriting improvement in elementary students 한준구, 김귀훈 p. 345-352

정약용의 자녀 양육 태도를 통해 본 아버지됨 연구 = Study of fathering as seen through Yak-yong Jeong's child-rearing attitudes : focused on his letters from exile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중심으로 박혜숙, 정민자 p. 353-371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을 매개로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via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김소현, 윤중헌, 김세영 p. 373-394
국내 대학에서의 봉사학습 연구 동향 =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 a review of research 최수정 p. 395-413
한국형 성인 실행기능 척도 타당화 =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xecutive functioning scale 김정숙, 김지현 p. 415-428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학습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 분석 =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learning method and course division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resence in the synchronous universities online class 유민우, 김승옥, 유병민 p. 429-445
초⋅중등 예비교원의 조망수용과 다문화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s of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 편견과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다솔, 김영화 p. 447-460
생활체육 수영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wimming instructors' feedback types on instructor trustiness and sport immersion 손태환, 조욱상 p. 461-475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의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 : 국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손명희, 이희경 p. 477-493
아동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 A study on child counselors' perception of countertransference using Q methodology 황순원, 이상희 p. 495-510
유아교사가 인식한 기관풍토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 교사수업리더십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가윤, 박희진 p. 511-525
고등학생이 지각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이수아 p. 527-545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the process of handling school violence cases 김영화, 김예진, 임혜경, 강선모, 안태용 p. 547-569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 및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identity of adolescents : focusing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손다교, 박윤미 p. 571-593
텍스트 마이닝 및 CONCOR 분석을 기반으로 한 충청남도 스포츠 관광 트렌드 분석(2010~2023) = Trend analysis of sports tourism in Chungcheongnam-do based on text mining and CONCOR analysis (2010~2023) 최주현, 엄진종 p. 595-609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요소 도출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Analysi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experienc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이은택, 차정민 p. 611-627

심리상담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어머니의 남성상담사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 A subjec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male counselors among mothers utilizing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김아리, 이상희 p. 629-643
국내 온라인 기반 우울 완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domestic online-based depression relief program 우정란, 김윤희 p. 645-663
육아의 현실에 관한 포토보이스 = Photovoice on the reality of parenting 오영범, 백승미 p. 665-687
4∼5세 유아의 발생적 쓰기 발달 양상 = Developmental aspects of emergent writing in 4-5 year old children 김혜원 p. 689-701

대학전공선택검사의 성차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탐색 = A study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by gender of the college major interest inventory : focusing on the engineering majors :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권승아, 이보람 p. 703-717
대졸 청년층의 정부고용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분석 = Analysis of labor market outcomes according to labor market policy programs of university graduates 김채린 p. 719-738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신입근로자의 조기퇴사율 간의 관계 = Resignation rate of new employe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kill enhancement and job satisfaction : 직무능력향상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은 p. 739-753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가족 사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VR기반 애도 미술치료 사례연구 = Case study on VR-based grief art therapy fo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family bereav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민조, 김지은, 박종현, 이연우, 조윤희 p. 755-772
대학생 자퇴의향 분석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dropout intention : effects of Tinto's student integrati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 Tinto의 학생통합과 개인 및 대학 특성에 따른 효과 김희란, 모화숙 p. 773-792
대학 내 혁신교수법 적용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Study on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apply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n higher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양수영 p. 793-809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intercultural competence improvement : with a focus on collaborative learning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이혜경, 조영미 p. 811-827
초등교사들이 교수전략 선택에서 고려하는 요인 분석 = The analysis of factors conside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lecting teaching strategies 강은복, 양일호 p. 829-845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한 효과적인 고등학교의 학생 특성 탐색 = Exploring student characteristics in effective high schools using multilevel growth models 임현정 p. 847-862
역량기반 전공교육을 위한 교과-비교과 연계 플립러닝 학습효과 분석 =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of flipped learning linked to subject-non-curriculum for competency-based major education 김우태, 장은지 p. 863-880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회복지사의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struggling between two identities : 2가지 정체성 사이에 존재로서 분투(奮鬪)함 황지연, 배영광 p. 881-905
학생과 교사의 EBS 고교강의 만족도와 개선 요구사항 =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demands for EBS high school lectures 박혜랑, 김현철 p. 907-920
한글 자형에 대한 일본인 입문 학습자의 시각적 인식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recognition patterns of Japanese beginner learners regarding Hangul characters : focusing on consonant letters : 자음자를 중심으로 김민수 p. 921-937
귀국 직장인의 민족정체성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returnee employees in Korea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strategy by reverse culture shock : 역문화충격을 통한 문화적응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승희, 김보영 p. 939-956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한국과 중국 중학교 교사의 암묵적 지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teacher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and China 유뢰, 최인수 p. 957-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