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화용 언어능력은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는 물론 추후 학업 성취와 직업 수행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능력이다. 화용 언어능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대상자 연령, 중증도, 과제 유형에 따라 연구 결과가 상이하고 국내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화용 언어능력을 검토한 연구를 중심으로 대상자 연령과 과제 유형에 따른 ADHD 아동과 일반아동의 화용 언어능력 간 차이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에 발표된 국외 논문 2,365개를 검색하여 검토한 후, 본 연구의 배제조건을 바탕으로 한 메타분석을 통해 총 19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대상자와 과제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랜덤효과모형으로 Hedges’ g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한 논문의 대상자 연령은 취학전, 초등학생, 중학생 이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과제 유형으로는 마음이론 과제, 사회적 담화 과제,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과제 등 다양한 과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화용 언어능력 간 차이는 매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99).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 유형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ADHD 아동이 겪는 화용 언어능력의 어려움을 검증하였으며, ADHD 아동의 화용 언어능력을 평가할 때 다양한 과제를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를 진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Pragmatic language is an important ability that affects social relationships as well as future academic achievement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tudies conducted on children with ADHD who have difficulty with pragmatic language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ubject’s age, severity, and task type. Also, there are very few Korean domestic studies.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A total of 19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These studies had been published after the year 2000. These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ubject’s age and task type, a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Hedges’ g with a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 subjects’ ages were diverse, including preschool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Various types of tasks were also used, including theory of mind tasks, social discourse tasks, and referential communication tasks.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fference between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as strong (.99).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only task type. Conclusions: The difficulties in pragmatic language experienced by children with ADHD have been verified. It suggests that a comprehensive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using various tasks when assessing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