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장애와 미술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인 및 비장애인의 규범적이고 표준화된 시선에서 ‘장애’를 가진 청소년이라는 단편적 모습으로만 바라보는 것에서 벗어나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미술 경험을 살펴보고자 발달장애 청소년 3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도출된 사례 간 분석 결과는 ‘삶의 기반에서 행해지는 즐거움’, ‘능동적 의지와 적극적 자유로부터의 자기표현’, ‘개인의 표현을 넘어 타인과 만남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는 삶과 미술의 경계를 짓지 않으며 그들에게 미술은 익숙한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 일상과 연결된다. 이는 모두의 미술이 될 수 있는 예술적 삶의 가치와 실천을 보여준다.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의 개별성과 고유성은 그들만의 독특한 자기표현으로 정상성의 세계에 저항할 수 있게 하는 미술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는 타인에 의해 ‘할 수 있음’이 재발견되는 것이 아닌 ‘하고 있음’의 창작 주체로서 발언하고 주변과 소통한다. 이는 개인의 영역과 사회적 영역이 연결되는 미술의 의미가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의미와 실천 방법에 대한 고찰 =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practical method of inclusion in art education 강윤정 p. 1-20

인공지능 미술교육 도래에 따른 아동의 미술창작 인식에 대한 질적 탐구 = Qualitative investigation into children's perception of art creation with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education 김민영, 황의진 p. 21-44

전인교육의 재조명과 미술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 Reexamination of whole person education and direction of art curriculum composition and description 김정효 p. 45-67

공감 기반 미술 교육을 위한 맞춤형 미술 수업 설계 방안 탐색 = A study on exploring differentiated art class design methods for empathy-based art education 남영림 p. 69-95

노작교육론 기반의 ‘공동체 역량’ 신장을 위한 침선 공예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sewing crafts program to promote 'community competence' based on work-oriented education theory : focusing on the case of making Duru pouch-type pavilion : 두루주머니형 파빌리온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숙, 김미정 p. 97-134

미술교육을 통한 아동의 긍정적 정서발달의 의미와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and measures of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development of through art education : focusing on interview with art teachers : 미술교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박진희, 이선혜 p. 135-155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의 미술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rtistic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creators : focusing on the voices of the parties invovled : 당사자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박진희 p. 157-176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개념과 입체 조형에서 자연 재료와 표현기법이 갖는 가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of 'material imagination' by Gaston Bachelard and the value of natural materials and techniques in three-dimensional art 심정아 p. 177-210

미술과 토의·토론의 목적과 방법 = Purpose and method of discussion·debate in art curriculum : proposal to introduce the concept and method of studio critique : 스튜디오 크리틱 개념과 방법의 도입을 제안하며 안지연 p. 211-238

‘미적 체험’을 통한 교육적 경험의 변용과 창조 = Th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esthetic experience' 옥영희 p. 239-261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매체 활용의 방향성 탐색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edia use in art education : 벤야민, 매클루언, 플루서를 중심으로 이미희 p. 263-281

미술교육에서의 온오프라인 연계학습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online-offline learning in art education 이윤희 p. 283-301

학습자의 자기이해 경험을 통한 중학교 맞춤형 미술교육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 A study on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personalized art education in a middle school through learners' self-understanding experiences 이현정, 윤은주, 주승민, 유지혜, 김선아 p. 303-325

학생 참여 중심 평가의 의미와 방법 고찰 = Examining the meaning and methods of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ssessment :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장현주 p. 327-348

예술가교사(teaching artist) 체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 Life history research about teaching artists' experience 전수연 p. 349-381

관계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보호작업장 이용 성인지적장애인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Art therapy on relational difficulties for a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sheltered workshop : qualitative case study 최예슬, 한경아 p. 383-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