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서양근세자치론. 3, 사회계약설→저항권→시민정부론→인민주권론→자기입법권… 자치론은 어떻게 형성됐나 [토론] / 박호성 ; 이관춘 ; 신승환 ; 김만권 ; 박경하 ; 이창균 ; 홍만표 ; 정원영 1

[머리글] 1

'사회계약'에 의한 국가 설립과 국민의 '저항권' 2

사회적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이기심과 '공감' 그리고 자율 3

의지의 자율과 인간 존엄성…자율성 가진 자유로운 시민들의 집합체 '민주사회' 4

자유와 자율, 일반의지…"최고의 정치형태는 인민 집회가 완전한 입법권 갖는 직접민주제" 5

시민과 자치, 전적으로 근대에 이르러 새롭게 체계화된 계몽주의 안에서 이해할 수 있는 개념 6

공동체를 자치적으로 운영하는 원리와 규범이 무엇인가…'자기입법' 자치 가능케 하는 핵심능력 7

주민자치, 이성·정의 보다 감성돌봄 차원에 관심 가져야 8

산업화·민주화 과정서 소외된 마을·지역사회 이제는 살려야 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주민자치의 시작은 사회적 자본 형성으로부터 [정리]: 김윤미 ; 사진: 문효근, 김광모 p. 8-17

보기
해체·소멸의 시대에 어떻게 새로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것인가 : 주민자치 실질화 대토론회 [정리]: 김윤미 ; 사진: 문효근, 김광모 p. 18-27

보기
'풀뿌리민주주의 근원' 주민자치의 성장이 곧 지역의 성장 : 박정현 부여군수 [대담] 박정현, 김윤미 [대담] p. 28-37

보기
잘 살고 차가운 동네 아닌 아름답고 기쁨 주는 따뜻한 동네 만들기에 앞장 : 신상두 강남구 주민자치위원장연합회장 [인터뷰] [인터뷰이]: 신상두 ; 취재·사진: 김윤미 p. 38-41

보기
"종로구 주민자치회 조례, 주민이 직접 만든다" : '주민 없이' 왜곡된 행안부 주민자치회 표준조례 획기적으로 개선 취재·사진: 문효근 p. 42-44

보기
한국 주민자치의 역사와 전통 :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6, 대한제국 시대의 주민자치 조성호 p. 45-55

보기
"주민 모두의 주민자치로! 서울로 견학 온 청평면, 전국서 찾아가는 선진지 되길" : 가평군 청평면 주민자치회 [정리]: 김윤미 ; 사진: 문효근 p. 56-58

보기
'함께 혁신-함께 성공으로 전북 주민자치 실현!' : 2023 전라북도 주민자치위원 역량강화 세미나 [정리]: 문효근 ; 사진: 이문재 p. 59-62

보기
"주민자치, 이제껏 하지 않았던 일 찾아내 할 줄 알아야" : 군산시 주민자치협의회 2023 송년의 밤서 전상직 중앙회장 특강 펼쳐 [정리]: 문효근 ; 사진: 이문재 p. 63-67

보기
"읍면동, 민주화 사각지대… 주민자치로 진정한 지역민주화 이뤄야" [정리]: 김윤미 ; 사진: 이문재 p. 68-73

보기
설문조사·심층인터뷰로 살펴본 순천시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개선방안 김윤미 p. 74-80

보기
서양근세자치론. 3, 사회계약설→저항권→시민정부론→인민주권론→자기입법권… 자치론은 어떻게 형성됐나 [토론] 좌장: 박호성 ; 발제: 이관춘 ; 토론: 신승환, 김만권, 박경하, 이창균, 홍만표, 정원영 p. 82-91

보기
5개 대학에 첫 개설된 주민자치 과목, 성과와 발전방향은? [토론] 좌장 겸 발표: 박경하 ; [토론]: 전영평, 허훈, 김찬동, 홍형득, 양형모, 이자연, 임중범, 최홍석 p. 92-96

보기
향약·향교의 정신적 가치, 현대 주민자치서 어떻게 되살릴까 [토론] 좌장: 김홍우 ; 발제: 박경하, 최영갑 ; 토론: 김택환, 김용재, 유승상, 곽도, 권행완 p. 97-105

보기
주민자치+평생교육 상생할 수 있는 길은? [토론] 발제: 정민승, 이관춘 ; 토론: 박재준, 최수연, 양은아, 유인숙 p. 106-112

보기
"국민 절반 이상 거주" 아파트서 주민자치 꽃피우려면? [토론] 좌장: 박경하 ; 발제: 곽도 ; 토론: 김원일, 권명희, 권영옥, 이용규 p. 113-117

보기
효령대군 <향헌목>의 성격 박경하 p. 118-120

보기
주민자치, 대학으로 가다 전영평 p. 122-125

보기
서귀포시 하례1리 마을 공동자원과 공동체 이야기 최현 p. 126-129

보기
새해, 「첫 마음」으로 '주인으로 사는' 한 해를 이관춘 p. 130-13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