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의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을 포함한 국내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 현황 및 한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매체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현황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셋째, 해외 주요 도서관 사례에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수집 지침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매체 플랫폼 기반의 자료 유형을 도출하고 해당 자료에 대한 정책을 검토하였다. 넷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매체별 수집대상 및 범위 정의, 수집 방법 등 수집 개요(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수집 개요(안)을 적용하기 위한 다음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1)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의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이 요구된다, 2)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별 수집 지침 개발 및 제시가 필요하다, 3)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도구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4)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위해 소셜 미디어 수집대상 기관의 수집 허락과, 실감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협력이 필요하다, 5)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접근성 제고, 실감콘텐츠 등 e-deposit 시스템의 콘텐츠 확장성 및 사용의 용이성 제고, 그리고 실감콘텐츠 재현 공간 첨단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ethod for collecting and applying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Firstl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based on domestic media platforms, including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condly, a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digital content based on media platforms. Thirdly, we identified the types of materials based on media platforms that are not currently included in the National Central Library’s online material collection guidelines through the examination of cases from major overseas libraries. Fourthly, after reviewing technical and legal elements such as the definition of collection targets and scope for each new media, and collection methods, we established collection criteria. Fifth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olici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lear legal basis for the collection of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2) the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collection guidelines for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is necessary; 3) the development of collection tools and infrastructure for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is required; 4) for the collection of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obtain permission for collection from targeted social media organizations, and to cooperate in linkage with organizations that produce and service extended reality content; 5) for the service activation of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usage activation of these materials, to enhance the content extensibility and ease of use of the e-deposit system including extended reality content, and to advance and construct spaces for reproducing extended reality cont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공도서관 목록데이터의 중복검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uplication verification of public library catalog data : focusing on the case of G library in Busan : 부산 지역 G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송민건, 이수상 p. 1-26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장서 및 보존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level of book saturation in Chungcheongbuk-do libraries 노영희, 강봉숙, 곽승진, 장인호 p. 27-45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on public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윤서, 남영준 p. 47-67

사서학습공동체 도입 가능성 탐색 및 운영 모델 제안 = Suggesting an operating model and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정영미, 이은주 p. 69-97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분석 = A study on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 : focused on Rubric evaluation : 루브릭 평가를 중심으로 전선구, 이용재 p. 99-122

대학도서관 인력 현황에 관한 현장 인식 조사 = Field perceptions on the staffing situation of academic libraries 나은엽, 나상오, 이종욱 p. 123-143

주요 국가의 학위논문 납본 관련 법규와 실무에 관한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legal regulations and practices of legal theses deposits in major other countries 조용완, 구정화 p. 145-172

챌린지에 나타난 Z세대의 협업 정보 활동 = Analysis of Z generation’s collaborative information activities through challenges : focus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강지혜 p. 173-192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적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application measures for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노영희, 정영미, 손애경, 장인호, 차현주 p. 193-214

국가 차원의 PID 기반 연구 개체의 식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dentifying and utilizing PID-based research entity at a national level 김규환 p. 215-237

ISNI-KOREA 컨소시엄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revitalizing the ISNI-KOREA consortium an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김주섭, 강봉숙, 김선태 p. 239-261

도서관자동화시스템 개선을 위한 현황 및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library automation systems for system improvement 안병군, 정영임, 황혜경 p. 263-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