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율곡선생전서」와 「율곡선생전서습유」의 편찬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율곡선생전서」와 「율곡선생전서습유」의 간행에 사용되었던 동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을 새롭게 밝혔다.
도암 이재는 송시열의 유명에 따라 이이의 5대손인 이진오와 함께 편찬하여 「율곡시집」, 「율곡문집」, 「율곡속집」, 「율곡외집」 및 「율곡별집」을 합본하고 「성학집요」 및 「격몽요결」 등을 보편하여 영조 18년(1742)~영조 20년(1744) 사이에 「율곡선생전서」 38권 23책을 완성하였다. 홍계희와 그의 사우들이 영조 25년(1749)에 활자를 주조하여 「율곡선생전서」의 약간본을 인출하였으며 「율곡선생전서」에 「율곡선생전서습유」 6권을 포함시켰다.
동활자 조성의 주관자는 홍계희와 그의 사우들이다. 홍계희의 사우들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그의 문집과 남아있는 사료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황윤석의 「이재난고」 등을 통해 그의 문인으로 확인되는 인물로는 이기경·이기정 형제, 친족 홍계학·홍주익, 그리고 북방인사 박종을 들 수 있다. 동활자의 일차 조성목적은 「율곡선생전서」 38권과 「율곡선생전서습유」 6권을 간행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조성처는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조성시기는 영조 22년(1746) 11월부터 영조 25년(1749) 가을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동활자는 「율곡선생전서」를 간행하기 위해 조성되었기 때문에 붙여 ‘율곡전서자’로 명명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율곡전서자’의 서지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표집된 어조사의 샘플인 지(之), 불(不), 우(于), 이(而), 기(其), 야(也), 이(以), 어(於), 혜(兮), 호(乎)에서는 모두 「강희자전」의 필체를 근간으로 하여 그 특징을 잘 살려내고 있다. ‘율곡전서자’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글씨들의 예를 보면, 애(愛), 심(深), 강(江), 형(形), 황(况) 등이고, ‘율곡전서자’의 자형 중 「강희자전」의 글자체를 모범적으로 따르고 거의 흡사하게 구현된 글자체를 보면, 심(心), 필(必), 산(山), 인(人) 등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는 향후 서지학 분야의 연구는 물론 인쇄문화사, 민간동활자 연구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in detail the compilation of Yulgogseonsaengjeonseo and Yulgogseonsaengjeonseoseubyu, and revealed the composition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ype used in the publication of Yulgogseonsaengjeonseo and Yulgogseonsaengjeonseoseubyu.
Following Song, Si Yyeol’s fame, Doam Lee, Jae compiled with Lee, Yi’s 5th-generation descendant Lee, Jin Oh, compiling Yulgogsijib, Yulgogmunjib, Yulgogsogjib, Yulgogoejib and Yulgokbyeoljip, By universalizing Seonghagjibyo and Gyeogmongyogyeol, etc., he completed 38 vols. 23 books of Yulgogseonsaengjeonseo between the 18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42) and the 20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44). Hong, Gye Hee and his associates cast type in the 25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49) and extracted a small copy of Yulgogseonsaengjeonseo and included 6 vol. of Yulgogseonsaengjeonseo- seubyu in Yulgogseonsaengjeonseo.
The person in charge of creating the copper type was Hong, Gye Hee and his associates. It is unknown who Hong, Gye Hee’s associates are. This is because there are almost no collections of his works or remaining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the figures identified as his literary figures through Hwang, Yun Seok’s Ijaenango include the brothers Lee, Ki Gyeong and Lee, Ki Jeong, his relatives Hong, Gye Hak and Hong, Ju Ik, and the northern figure Park, Jong. The primary purpose of creating this type was to publish 38 vols. of Yulgogseonsaengjeonseo and 6 vols. of Yulgogseonsaengjeonseoseubyu. The exact place of creation is unknown, and the period of creation began from November of the 22nd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46). It is presumed to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all of 1749(25th year). Therefore, since this type was created to publish Yulgogseonsaengjeonseo, it seems that there would be no problem in naming it ‘Yulgok Jeonseoja’.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Yulgok Jeonseoja’, the samples of the collected eoksa are Ji(之), Bul(不), Woo(于), I(而), Gi(其), Ya(也), and I(以), Eo(於), Hui(兮), and Ho(乎) are all based on the handwriting of Ganghuijajeon and bring out its characteristics well. If we look at examples of letters that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 Jeonseoja’, we see Ae(愛) and Sim(深), Gang(江), Hyeong(形), and Hwang(况), etc. Among the fonts of ‘Yulgok Jeonseoja’, the fonts that follow exemplarily the font of Ganghuijajeon and are implemented almost closely are Sim(心), Pil(必), San(山), and In(人), etc.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ost basic research outcome in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as well as the history of printing culture and folk printing.*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