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전북 남원의 남원양씨 충장공파 종중이 소장한 고서 169종 235책을 대상으로 자료의 현황과 가치를 살펴본 것이다. 충장공파 종중은 문인 가문으로서 경제력과 정보력을 바탕으로 조선시대부터 많은 양의 고서를 수장했을 것이다. 그러나 전쟁, 화재 및 근대화 과정 속에서 상당량의 자료가 유실되거나 분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중의 노력으로 양대박의 부친인 양의의 날인이 찍힌 귀중한 고서를 비롯하여 16-17세기에 간행한 각종 판본들이 현존할 수 있었다. 이 글은 특히 판본학적 가치 이외에도 주요 인물인 양대박, 양경우, 양형우, 양주익과 관련된 고서를 발굴, 소개함으로써 해당 인물은 물론 주변 인물들의 생애사, 문학사, 한문학, 지역사 등 제방면에 있어서 학술적 활용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value of the data by targeting 235 books of 169 types owned by the Chunjanggong clan of the Namwon Yang clan in Namwon, Jeollabuk-do. The Chunjanggong clan, as a literary family, must have held a large amount of ancient books since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ir economic and intelligence power. However, a considerable amount of data was lost or dispersed in the process of war, fire, and modernization. Nevertheless, due to the efforts of the clan, various editions publish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cluding valuable ancient books stamped with the seal of Yang, the father of Yang Daebak, could exist. In addition to the literary value, by discovering and introducing ancient books related to the major figures such as Yang Daebak, Yang Gyeongu, Yang Hyeongu and Yang Juik, it was intended to enhance the academic utilization value in the embankment, such as the life history, literature history, Chinese literature, and local history of not only the relevant person but also those around hi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栗谷先生全書」와 「栗谷先生全書拾遺」의 편찬과 간행을 위한 율곡전서자의 조성 및 서지적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Yulgokjeonseoja for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Yulgogseonsaengjeonseo and Yulgogseonsaengjeonseoseubyu 강순애 p. 5-26

고려전기 義天 編定 「圓宗文類」 권14의 서지 및 교감 = Bibliography and textual comparison of volume 14 of Wonjong-Munryu, edited by Uichon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박용진 p. 27-59

19세기 대구지역 강회 기록물의 서지적 분석 = A bibliographic analysis of the 19th century lecture records in Daegu : focusing on Jiheon Choi Hyo-sul’s academic activities : 지헌 최효술의 강학활동을 중심으로 최기척 p. 61-81

조선 전기 世稿의 간행과 판본 = A study on the publication and edition of family anthology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최경훈 p. 83-106

청양 운장암 소장 1462년 刊經都監本 「首楞嚴經義海」의 서지적 분석 = The bibliographic analysis of Commentary that Interprets the Śūrangama-sūtra published by Gangyeongdogam in 1462 안휘섭 p. 107-136

전북 남원의 南原梁氏 忠壯公派 宗中 소장 古書의 현황과 가치 = The current status and value of old books owned by the Chunjanggong Clan of the Namwon Yang clan in Namwon, Jeollabuk-do 金昭姬 p. 137-158

관원록 「淸選考」 고찰 = A study of Cheongseongo as the profiles of officials 한미경 p. 159-183

하나의 壽會, 두 개의 기록 = One banquet, two records : issued in 1913, 「Bukwon-suhoecheop(北園壽會帖)」 forgery demonstration : 1913년 발행 「北園壽會帖」 僞作 변증 정용건 p. 185-204

일제강점기 한성도서주식회사의 미간행 原稿本 「朝鮮全書」 = A study on the unpublished manuscript Joseon Jeonseo of Hansung Book Press in Japanese colonial era 우정훈, 유춘동 p. 205-220

17세기 일본 林家 소장 명판본 「資治通鑑綱目」 연구 = A study on Ming edition Zi-Zhi-Tong-Jian-Gang-Mu owned by Rinke in the 17th century in Japan 이유리 p. 22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