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지금까지 주로 쌀가격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온 북한의 시장물가를 물가지수를 통해 재해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북한의 시장물가 변동이 장기적으로는 유동성 변화에 따른 화폐적 현상이며 단기적으로는 자연재해, 화폐개혁 실패,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 코로나19 팬데믹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음을 말해준다. 2006~12년 기간의 물가 등귀에는 재정적자 보전목적의 화폐증발이 지배적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2013년 이후에는 북한당국이 유동성 증가를 제한하는 가운데 주로 실물부문의 수급상황에 의해 물가가 변동했다. 2016년 이후부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강화되고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대중 수입이 사상 초유의 수준으로 급감했으며. 이로 인해 수입식료품, 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물가가 상승하였다. 한편, 물가가 안정화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부터 쌀가격은 하향안정화되는 반면 물가지수는 완만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는 2013년 이후로 쌀가격 동향이 물가의 변화를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This paper reanalyzes the cost of living in North Korea, which has been discussed mainly concerning rice prices, through the price index.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North Korea’s market price fluctuations are a monetary phenomenon caused by changes in liquidity in the long term, and in the short term they are affected b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natural disasters, failure of currency reform, strengthened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COVID-19 pandemic. During the period from 2006 to 2012, the currency over issuance for the purpose of making up for the fiscal deficit acted as a dominant factor in the rise in prices. After 2013, prices fluctuated mainly due to th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in the real sector, while North Korean authorities restricted any increase in liquidity. Since 2016,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been strengthened, and imports from China have plummeted to an unprecedented level due to the 2020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prices rose mainly for imported foodstuffs and medicines. On the other hand, since 2013, when prices began to stabilize, a phenomenon in which rice prices have mov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prices has been observed. It means that the rice price trend since 2013 does not explain the change in price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데이터 기반 경제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data-based research in economics | 최재성, 황윤재 | p. 5-28 |
|
|
우리나라 고령자의 은퇴 이후 소득절벽 효과 분석 = The income cliff effect after retirement in South Korea | 오태희, 이장연 | p. 29-71 |
|
|
북한의 시장물가 = Market prices in North Korea : 2006~2022 : 2006~2022 | 임송, 문승현 | p. 73-139 |
|
|
한국 장기 임금 자료를 활용한 임금-물가 악순환(Wage-Price Spiral) 분석 = Empirical investigation of wage-price spiral using long-time series wage data | 강신혁 | p. 141-173 |
|
|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의 금리 민감도 = Demographic shifts and sensitivity of consumption to interest rate changes | 이재호 | p. 175-204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