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등 과학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기술 관련 위험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를 조사하고자 총 366명의 중등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위험지각, 위험평가, 위험관리 측면에서 교육해 본 적이 있는 교사보다 그렇지 않은 교사들이 더 많았다. 교사들이 지도해 본 위험으로는 지구온난화가 가장 많았으며, 지진, 인공지능, 교통사고가 그다음으로 많이 다루어졌다. 둘째, 교사들은 자신이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가르칠 준비는 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위험관리, 위험평가보다 위험지각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도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교사들이 받은 위험에 대한 연수 경험은 매우 적었으며 위험지각에 비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수가 더 적었다. 교사들이 경험한 연수로는 실험실 안전교육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교사들은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에 대한 자신들의 역량이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교사, 통합과 학교육 전공 교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신들의 역량을 높이 평가하였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들이 학교 과학교육에서 위험을 다루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보 활용, 의사 결정 역량, 대중매체의 영향평가 순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실천역량, 정보활용, 위험특성영향평가 순으로 교육이 시급하다고 응답하였다. 일곱째,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별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실천역량, 위험특성의 영향평가, 위험평가방법에 대한 평가가 각각 1, 2, 3위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학교 학생의 환경적 세계관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worldviews of middle school students 심규철 p. 1-9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서 발현되는 과학공감의 특성과 변화 분석 =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cientific empathy during students’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in science 양희선, 강성주 p. 11-27

실험의 의미 재고를 통한 현상중심의 실험교육의 필요성 제안 = Proposal for phenomena-based experimental education through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experimentation : based on Ian Hacking’s creation of phenomena : 이언 해킹(Ian Hacking)의 현상의 창조를 중심으로 최진현, 전상학 p. 29-38

과학교육 분야 자연어 처리 기법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ren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전철홍, 유선아 p. 39-55

중등 과학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기술 관련 위험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 = Risk education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 a stud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김진희, 나지연, 정용욱 p. 57-75

공유 문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담화의 특징 = Exploring collaborative learning dynamics in science classes using Google Docs : an epistemic network analysis of student discourse : 인식 네트워크 분석(ENA)의 활용 신은혜 p. 77-86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상 교과 내용 체계표의 변천과 쟁점 = Trends and issue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subject-matter content system table : focusing on the science subject case : 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건 p. 87-103

개선된 합의 모델(RCM)의 지식 교환을 통한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 변화 탐색 = Exploring the changes in elementary teachers’ modeling pPCK for science modeling instructions through knowledge exchange of the refined consensus model 김현주, 임채성, 이기영 p. 105-117

과학 교과의 학생 평가에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및 교사 인식 탐색 = Exploration on the feasibility of utilization and teacher perceptions of using ChatGPT for student assessment in science 이동원, 심현표, 백종호 p. 119-130

유길준의 『서유견문』에서 보이는 지구에 대한 과학적인 서술 = A scientific description of the earth as seen in Yu Giljun's SeoYuGyeonMun 이면우 p. 13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