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전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은 실제 잠재지문 현출력에서 부족한 결과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질 성분을 개선하여 실제 지문 조성과 유사한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을 개발하였다. 아미노산 수용액과 지질 수용액을 부피 비 3:2, 4:1, 5:1, 8:1, 10:1, 20:1로 혼합하여 일정량을 다공성 표면인 종이와 비다공성 표면인 슬라이드 글라스에 떨어뜨린 후 각각 Oil red O, Cyanoacrylate 기법 및 Basic yellow 40 염색을 적용하여 현출하였다. 지질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현출력 또한 감소하였지만, 두 종류의 표면 및 모든 농도에서 충분히 육안으로 식별되었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과 비교하였을 때 지질 반응성 지문 현출 시약에 대한 반응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을 지문 융선대로 프린팅하여 실제 잠재지문과 조성이 유사한 인공 잠재지문을 제작하여 지문 연구에 대한 정량적인 샘플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revious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solution has shown unsatisfactory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solution close to the actual fingerprint composition by improving the lipid composition. We mixed lipid solution with amino acid solution at v/v ratios as follows: 2:3, 1:4, 1:5, 1:8, 1:10, 1:20. We then dropped the same amount of each proportion of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solution on porous paper and non-porous slide glass. Subsequently, each sample was treated with Oil red O, Cyanoacrylate fuming and Basic yellow 40 staining. As the concentration of lipids decreased, the output also decreased. Both types of surfaces and all concentrations were visually confirmed very well. In addition, the reactivity to lipid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previous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solution. Furthermore,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the printing of the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solu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OVID-19 치료 및 진단을 위한 Exosome의 임상적 적용 = Clinical application of exosomes for COVID-19 and diagnosis 허준석 p. 1-9

(The) workflow for computational analysis of single-cell RNA-sequencing data = 단일 세포 RNA 시퀀싱 데이터에 대한 컴퓨터 분석의 작업과정 Sung-Hun Woo, Byung Chul Jung p. 10-20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 Basic study on the inclus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 focus on Korea, Japan, and Taiwan :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구본경, 박창은 p. 21-31

재채혈된 검체를 이용한 허용 Hemolysis Index에 대한 연구 = Investigation of an acceptable hemolysis index using re-collected samples 김홍범, 원동일, 손경애, 김진만, 우유진 p. 32-42

카세트 기반 자동합성장치를 사용한 [68Ga]Ga-FAPI-04의 합성방법 연구 = Development of a synthetic method for [68Ga]Ga-FAPI-04 using a cassette-based synthesizer 박준영, 강원준 p. 43-51

다이오드 레이저와 PhotoMed, Methyl Pheophorbide A, RadachlorinⓇ을 이용한 녹농균에 대한 항균 광역학 요법 =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on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a diode laser and photomed, methyl pheophorbide A, or RadachlorinⓇ 송영규, 육근돌, 김지원 p. 52-58

제주지역 야생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분변의 호기성 장내 미생물 분포 = Distribution of aerobic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the feces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in Jeju 김지로, 오윤희, 정무상 p. 59-65

한국인 ABO 유전자 다형성과 이상지질혈증의 연관성 = Association of ABO genetic polymorphisms and dyslipidemia in Korean population 송윤주, 이성원, 진현석, 박상욱 p. 66-72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enhances doxorubicin-induced reduction in the viability of MCF-7 breast cancer cells = 맥동 전자기장 처리에 의한 독소루비신 유도 유방암 세포 생존저하 촉진 Sung-Hun Woo, Yoon Suk Kim p. 73-84

뇌파검사에서 전도성 접착제의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conductive paste in electroencephalography : evaluation of artifact and satisfaction : 인공산물과 만족도 평가 송재환, 김성희, 김대현 p. 85-88

육안검사기술의 실무적 이해 = Practical understanding of gross examination techniques 지우현 p. 89-98

지질조성 개선을 통한 새로운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의 개발 = Development of a new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aqueous solution by improving lipid composition 이상윤, 임화선, 이기종 p. 9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