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조선 후기에 들어오면 여색에 초연하다고 자처하는 남성 인물들이 주변인의 공모에 의해 호색적 성격을 폭로당하는 내용의 ‘훼절소설’들이 등장한다. 공통적으로 훼절소설에서는 주인공 남성들의 이성애 섹슈얼리티가 확인되는데, 훼절한 남성은 처벌받지 않고 공동체 내부로 포용된다. 그러나 개별 작품마다 주인공의 구체적인 훼절 과정과 결말은 차이를 보인다.
먼저 〈지봉전〉은 이성애 섹슈얼리티를 거부하여 동성사회적 기준과 불화하는 지배적 남성인 지봉 이수광을 진정한 남성으로 교화시키는 과정을 서사화했다. 주인공은 다른 지배 계급 남성들과 여성 거래의 삼각 구도를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공적 관계를 맺는 지배 계급 남성들 간의 유대와 질서가 강조된다. 주인공은 훼절 과정에서 절대 비속해지지 않는다.
〈오유란전〉의 이생은 미성숙한 남성으로서 역시 이성애 섹슈얼리티를 거부해 동성사회적 기준과 불화하는 자다. 그는 가족이나 친구 등 사적 관계에 있는 남성의 공모로 훼절되며, 그 과정에서 알몸이 해학적으로 천하에 공개된다. 서사 말미에는 이생이 온전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체현한 존재로 성장한 후 동성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살아가는 후일담이 자세하게 제시된다.
〈삼선기〉의 초반부 서사는 세속적 욕망을 외면하는 지배 양반의 훼절을 그렸기에 〈지봉전〉과 유사해보인다. 그러나 후반부에서 주인공 춘풍이 훼절 이후 대안적 남성성을 실천한다는 점에서는 앞선 작품들과 구별된다. 춘풍의 젠더 실천은 남성 동성사회의 유지에 가장 큰 위협이 되므로 다른 서사와는 달리 그를 노골적으로 적대하는 반동인물이 등장한다. 결국 춘풍은 기존의 남성연대에 편입되지 못하고 다른 세계(신선의 공간)로 건너간다.
훼절소설군의 서사적 정형성에도 불구하고 개별 작품 속 주인공이 보여주는 젠더 실천들이 결코 단일하지 않는 까닭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하나의 이상일 뿐 현실에서는 남성적 규범을 제각각의 방식으로 실천하는 삶들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조선 후기 ‘복수의 남성성들’의 양상을 반영한 훼절소설들은 당대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결과물일 수 있다. 그러나 남성의 위기에 대한 서사가 꾸준히 창작되고 향유되어 오는 동안 가부장제는 언제나 성공적으로 유지되어 왔으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기준들은 어떤 시점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남성 훼절 서사는 확고부동한 권력인 것처럼 보이는 남성성의 개념이 사실은 계속 도전받는 연약한 구성물뿐이라는 점을 여실히 드러내어 주지만, 한편으로는 이미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남성성 모델이 얼마나 깨뜨리기 어려우며 영향력이 큰지를 동시에 알려준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