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네이버 웹소설에 연재되었던 웹소설 〈조선여우스캔들〉에 고전서사가 수용된 양상을 살피고, 웹소설 〈조선여우스캔들〉에서 복수의 고전서사 수용이 갖는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웹소설 〈조선여우스캔들〉은 여우 어사 시호가 회수하러 다니는 신수(神獸)가 사실은 고전서사에 등장하는 동물이었다는 설정을 통해 복수의 고전서사 작품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배치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작품에 수용된 고소설과 설화 등 19종의 고전서사는 시호의 어사 업무 수행담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전체 분량의 48% 이상을 차지한다. 시호의 어사 업무 수행담은 ‘하나의 신수 문제 종료 = 고전 에피소드 하나 종결’ 구조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독자는 신수 문제를 다룬 이야기를 읽으며 고전서사를 즐길 수 있다. 작중 수용된 19종의 고전서사는 변이의 정도에 따라 고전서사가 거의 그대로 진행된 것 1편, 고전서사별 공통 서사는 유지하고 등장 캐릭터만 작중 캐릭터로 교체된 것 4편, 고전서사의 모티프를 수용한 것 1편, 고전서사가 공간 배경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 것 1편, 고전서사별 공통 서사의 일부를 수용하여 작가가 창작한 것 12편으로 나눌 수 있다. 변이는 작품을 거의 그대로 가져오는 것에서 작품의 일부를 가져오고 없는 내용을 작가가 추가하는 것까지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였다. 내용 면에서는 고전서사를 공간 배경으로 수용한 1편을 제외한 18편 중 14편에서 악행을 하는 캐릭터와 그에 대한 처벌이 강조되었다.
웹소설 〈조선여우스캔들〉의 고전서사 수용은 첫째, 독자에게 익숙한 옛 이야기에서 징악(懲惡)을 강조하여 웹소설의 ‘사이다’ 서사를 만들어냈다. 이때 악행이 내포한 문제점은 현재에도 동일하게 반복되기에 작중에서 응징이 강조되는 것은 독자에게 대리만족을 선사할 수 있다. 둘째, 고전서사를 이용해 운명에 순응한 채 좌절하는 신수, 운명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어 신수에서 인간으로 존재의 전환을 이룬 캐릭터의 모습을 제시한 결말부와 함께 유한한 삶 속에서 스스로의 삶과 운명을 만들어가는 인간 의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기여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