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비이용자 집단의 인식비교를 통하여 사회적 가치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여 도서관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주 시민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7일부터 15일간 대면 또는 온라인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유효 응답지 206부를 SPSS 25.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10대와 40대의 인식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인식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직업에 따른 인식에서도 학생, 기타, 주부, 자영업, 직장인 순으로 높았다. 둘째,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전 영역에서 이용자 집단이 비이용자 집단보다 높았다. 셋째, 도서관 이용 정도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파주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하여 비이용자의 이용자로의 유입과 남성과 60대, 20대를 대상으로 하는 신규 콘텐츠 및 서비스의 개발, 지역사회 활동 강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between users and non-users to materialize the abstract concept of social value and, thereby, to presen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library fiel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or online for 15 days from May 7, 2023, targeting Paju citizen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on 206 valid response copies using SPSS 25.0. In the results, it is shown that, first, for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with in particular, awareness among those in their 10s and 40s being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For awareness of community development, the awareness of the femal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group, while, for the awareness according to occupation, it is shown that awareness was highest in the following order: student, others, housewife, self-employed, and office worker. Second, for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the awareness of the us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user group in all areas. Third, for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ibrary 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easures to encourage non-users to become users, develop new content and services targeting male group and those in their 60s, and 20s, and strengthen community activitie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aju City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24 DLS 목록입력규칙을 위한 지침 개발 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2024 DLS cataloging rules 김예지, 김지은, 이미화 p. 5-26

색채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실내 이미지 연구 = A study of the interior image based on the color analysis in school libraries 지수민, 강봉숙 p. 27-45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between public library users and non-users : focused on Paju City : 파주시를 중심으로 오동근, 노동조 p. 47-71

과천시 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수립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A study on user perception survey for establishing effective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Gwacheon City library 노영희, 장인호, 곽우정 p. 73-96

국내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현황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old map in library and museums in Korea 김지영 p. 97-125

국내 유통 전자출판물의 납본 및 수집을 위한 데이터 요구사항 및 품질 검증 연구 = A study on data requirements and quality verification for legal deposit and acquisition tasks of domestic electronic publications 김규환, 김수정, 정대근 p. 127-148

대학도서관진흥법을 기반으로 한 자료구입비 예산책정과 효율적인 학과 배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ing the budget for the purchase cost of books based on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and the effective allocation of departments 노경국 p. 149-168

지명 전거 표준화를 위한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standardization 백지원, 이성숙 p. 169-192

초등학교 도서관 이용자교육에 대한 전담인력의 인식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user education 전유란, 강은영 p. 193-219

국내 대학 연구윤리지침의 연구데이터 관련 내용 분석 = A study on the analyzing research data-related content in the research ethics guidelines of Korean universities 장수현, 남영준 p. 221-241

국립의과학지식센터 서비스 발전 방안을 위한 연구 = Research on service development plan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med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혜영 p. 243-272

시청각 유형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권고포맷 연구 = Research on audiovisual type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criteria and recommended formats : focusing on audio types : 오디오 유형을 중심으로 전한역, 양동민 p. 273-300

양평군 공공도서관 공간 운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Study on establishment of space operation plan for Yangpyeong-gun public library 장인호, 노영희, 곽우정 p. 30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