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사
학생건강체력시스템(PAPS)에 대한 학생과 교육전문가의 인식 : 텍스트 마이닝 활용 =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perceptions of students and education experts : using text mi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 방법론을 활용하여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에 대한 학생과 교육전문가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집단(학생, 교육전문가)을 대상으로 PAPS에 대한 전반적 인식, 부정적 인식, 개선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중·고등학생 737명, 교육전문가 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온라인 기반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텍스트 자료에 대한 표준화 및 정제과정을 진행하였으며, 텍스트 마이닝 방법론의 적용을 위해 공출현 빈도와 연결중앙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Krkwic과 Net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APS에 대한 전반적 인식에 대해 학생집단과 교육전문가집단은 ‘체력확인’, ‘체력향상’, ‘체력측정(평가)’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PAPS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해 학생집단은 ‘힘듦’, ‘높은 기준’, ‘재미없음’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전문가 집단은 ‘동기부여의 어려움’, ‘정확하지 않은 측정’, ‘담당교사 업무 과다’로 응답하였다. 셋째, PAPS에 대해 학생집단은 ‘평가 종목 및 방법 개선’, ‘평가 기준 개선’, ‘부담감 완화’를 주요 개선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전문가 집단은 ‘평가 종목 개편’, ‘등급 기준 보완’, ‘동기제공’을 주요 개선사항으로 인식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학생과 교육전문가들은 PAPS에 대해 유사한 전반적 인식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평가 기준과 관련된 측면은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과 함께 교육전문가들이 PAPS에 대한 개선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 도구 및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 역시 적지 않았다. 이 연구는 PAPS에 대한 인식을 다집단을 통해 살펴보고 비구조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다양한 인식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향후 체육학 분야에서 방법론과 관련된 선행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