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역량이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자기효능감 및 리더십 역량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경력개발활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관리자패널조사 6, 7차 중 1,144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종단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은 6차 데이터를 활용하고, 종속변인은 7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은 경력개 발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여성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은 경력개발활동과 직무태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관리자의 경력개발활동은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 역량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조직성과에 선행되는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위해서는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역량 강화와 동시에 지속가능한 경력개발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외에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여성관리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역량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women managers' self-efficacy and leadership competency on job attitudes :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 경력개발활동의 매개효과 김지영, 강혜원, 박윤희 p. 1-29

경영진의 인적자원개발지원, 교육훈련 효과성 인식, 무형식학습효과와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pport, perception of training effectiveness, informal learning effect, and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 사무직과 생산직을 중심으로 임수원 p. 31-65

경력정체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ident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tenure and job embeddedness : 근속연수와 직무배태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현지, 조현아, 최순리, 서의영, 송지훈 p. 67-96

ISA몰입 측정도구 타당화 = Validation of ISA engagement scale : focusing on Korean chemical industry workers : 국내 화학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강지운, 강효주, 김도진, 조대연 p. 97-125

직원 침묵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the employee silence measurement 김지원, 임경애, 이윤수 p. 127-151

육군 장성급 군 리더의 성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study on the growth experiences of army general-level military leaders : focusing on generals from infantry and artillery classes : 보병과 포병 병과 출신을 중심으로 김홍재, 오헌석 p. 153-191

북한이탈주민의 취업과 직업에 관한 연구 = A comprehensive review of employment and occup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 academic research trend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학술연구 동향 및 의미연결망 분석 이상희, 김태성, 김희주 p. 19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