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폴라이트네스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가 작성한 2종류의 의뢰 메일을 대상으로 의뢰문과 의뢰문 주변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레포트 마감 연장’을 의뢰하는 메일에서는 양 언어에서 negative politeness strategy가 주를 이루었으나 한국어의 경우, 의뢰표현에 접속된 구성요소와 의뢰문 주변 요소에서 positive politeness strategy도 관찰되었다. 대학원 장학금을 받기 위한 ‘추천서 작성’을 의뢰하는 메일에서는 일본어의 경우, 정도는 약해졌으나 negative politeness의 경향이 우세하였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positive politeness strategy가 다수 관찰되어 ‘레포트 마감 연장’을 의뢰하는 메일에 이어 negative politeness가 우세한 일본어와 대조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일본어는 두 가지 중 비교적 부담이 큰 상황에서는 강력한 negative politeness의 단계에서 시작하여 부담이 적은 상황에서는 약화된 negative politeness가 사용되지만, 한국어는 부담이 큰 상황에서는 일본어에 비해 약화된 negative politeness가, 부담이 적은 상황에서는 positive politeness의 장치가 다용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이에 부담의 정도에 따라 face risk를 다르게 산출한다는 점에서는 양 언어가 공통적이나, 각각의 상황에 대해 산출한 결과값은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동일하게 negative politeness가 주가 되는 상황일지라도 양 언어에서 선호되는 하위 strategy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한일 양국의 언어 사용의 차이는 상대 영역에 대한 인식과 자기관 등 문화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주장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Politeness Theory, an analysis is conducted on two types of request emails written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the request and its surrounding elements. In emails requesting an 'extension of a report deadline', negative politeness strategies are prominent in both languages. However, in Korean,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are also observed in the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request expression and the surrounding elements of the request. For emails requesting a 'letter of recommendation', although the degree decreases in Japanese, the tendency of negative politeness remains dominant. In contrast, in Korean, a majority of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are observed, contrasting with the predominance of negative politeness in Japanese, following the email requesting an 'extension of a report deadline'. From these results, the study argues that while both languages share the commonality of generating face risk differently based on the degree of burden, the results produced for each situation diffe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dditionally, it points out the difference in preferred strateg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Such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use in this context are claimed to stem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interlocutor's domain and cultural aspects such as self-esteem.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コーパスを活用した類似語の意味比較 = 코퍼스를 활용한 유의어 의미 비교 : 「必ず」와「きっと」의 차이를 중심으로 : 「必ず」と「きっと」の違いを中心に | 金惠娟 | p. 23-38 | ||
韓日両語における関係修復表現の過去形 = 한일 양언어 관계 수복(修復) 표현의 과거형 :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감사합니다’와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감사했습니다’ 등에 대해서 :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감사합니다」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감사했습니다」などをめぐって | 森山卓郎, 李慶旼 | p. 39-60 | ||
現代日本語の使役文に現れる「限定副詞」に関する一考察 = 현대 일본어 사역문에 나타나는 ‘한정 부사’에 관한 일고찰 | 朴在炯 | p. 61-76 | ||
韓日両言語の依頼メールにおけるストラテジー = 한일 양 언어의 의뢰 스트라테지 : 폴라이트네스 이론에 근거하여 : ポライトネス理論からのアプローチ | 申媛善 | p. 77-97 |
|
|
藤原忠実『殿暦』古写本の資料性について = 藤原忠実 『殿暦』 고사본의 자료적 성질에 대해 : 한자가나혼용표기 부분에 주목하여 : 漢字仮名交じり表記部分に着目して | 柳原恵津子 | p. 99-117 | ||
属性叙述文の成立メカニズム及びその階層性 = 속성술어문의 성립 메커니즘과 그 차원성 : 동사술어로 구성된 속성술어문을 중심으로 : 動詞述語からなる属性叙述文を中心に | 姜柳 | p. 119-138 | ||
SELの日韓における留学生教育への応用の可能性と意義 = SEL의 한일 유학생교육에의 응용 가능성과 의의 | 鄭惠先, 永岡悦子 | p. 139-156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