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유녀와 유곽 공동체에 대한 대상화된 기술(항담/공문서/실용정보서/생활사전/백과사전/각종 문예 장르)을 한 도막의 이야기 텍스트이자 담론실천의 사례로 간주하

여 유곽 문화에 관한 당대의 자화상을 탐색했다. 특히 당대 남성 독자에게 제공된 지식정보들이 문예물과 어찌 상관하고 있는지, 텍스트 생산/텍스트에 대한 해석(인식, 상호작용)과정에서 어떤 유형의 담론들이 도입되고 그것들은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 서술의 층위를 분석하는 관점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명작으로 주목받았으나 해석에 난점이 있던 사이 카쿠의 뺷제염대감(諸艶大鑑)뺸(1684년 간행) 권5의 제3화「죽으면 함께 목검(死ば諸共の木刀)」을 독해했다. 이 이야기에서 유녀와 유객의 언행은 유곽 놀이에 관한 동시대 담론들과 상관하고 있고 유곽 문화에 대한 독특하고 이질적인 시좌를 마련하고 있었다. 당대의 항설 및「죽으면 함께 목검」의 영향을 받은 소설을 새롭게 보고하며 이들의 관계 양상을 밝혔는데, 모두 유녀의 속내를 의심하고 본심을 투시하려는 유객의 요구와 유녀의 반응, 진심이 판별된 이후 유녀의 말로(파탄/몰락/낙적)까지 명확히 결착시키는 〈공통 서사〉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런데「죽으면 함께 목검」의 언술은 주인공 한루의 기만적인 연기와 와카야마의 응대가 길항하고 있고, 이는 당대의 유녀와 유객의 유흥 전략 및 색도(色道)론이 배경으로 되어있었다. 독자는 담론(지식정보)이 환기하는 유흥 전략 및 유녀와 유객의 상호 응수(應酬)의 이미지 망 속에서 와카야마의 마음을 투시하려는(유녀의 속내가 끝내 드러나는 여타 이야기들처럼 서사자[語り手]의 시점과 언술을 기대하는) 공모(共謀)적 읽기의 재미를 추구하게 되나, B의 서사자와 독자는 심리적으로 동조되지 않는 거리가 유지된 채, 와카야마의 연기는 실패하지 않고 진정은 모호하게 남는다. 〈투시 욕망〉이 좌절토록 언술이 조정되는데 이점을 포착하지 못해 일부 전집류에는 본문교정 단계에서 해석상 혼란이 생긴 점도 확인했다. 이 이야기는 남성 독자에게 제공된 지식정보/담론(‘타자적 글쓰기’)을 포석으로 두되 그러한 글쓰기(담론)와 인식이 반복되지 않는 임계점의 사건으로 다유(太夫) 와카야마와 다이진(大尽) 한루의 상황극을 구성하고 있다. 유곽에서 삶을 영위해간 유녀들의 정념과 내밀한 이해득실이 어우러진 유곽 놀이에 대한 비평의 시좌가 오락적 흥미와 함께 형성되고 있었다.

다양한 유형의 유녀평판기와 사건/사고의 항설들, 대중 서사를 지닌 풍속소설들이 어떻게 얽혀 있는지, 텍스트/담론적 관계성(intertextuality/interdiscursivity)에 주목하면 문제의식의 구성과 자료 선정의 방식도 갱신될 것이며, 기존의 역사학에서 과제로 제출된 유녀 노동 양상의 발굴과 인간관계(유녀와 유객/유녀 동료들/유객 사이의 관계)의 규명도 새로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잡지 『변태심리(変態心理)』 특집호 속 소년범죄 연구 = A study about juvenile crime in the special issue of the magazine Hentai Shinri (変態心理) : "A Research of Delinquent Boys"(1918)·"The Problem of Juvenile Refinement"(1924) : 「불량소년연구호」(1918)·「소년교양문제호」(1924)를 중심으로 남상현 p. 9-41

잡지 『변태심리(変態心理)』에 나타난 사회적 담론 = A study on social discourse in the magazine Hentaishinri : focusing on <The Latest Theories> Section of Hentaishinri : <최신의 학설(最新の学説)>란을 중심으로 이현희 p. 43-71

雑誌『変態心理』における「心霊問題」の考察 = Study of psychic problems published in the magazine Hentai-Shinri : focusing on the acceptance of a 'metamorphic psychology' and 'psychic' in colonial Korea : 植民地朝鮮における「変態心理」と「心霊学」の受容を中心として 中村静代 p. 73-109

『사랑하는 여인을 얻지 못하는 곤추나곤(逢坂越えぬ権中納言)』론 = About the "Osakakoenugonchunagon Monogatari" : focusing on the relation of 'Rokujo Monogatariawase' : 로쿠조 모노가타리우타아와세(六条物語歌合)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재인 p. 111-138

근세 유녀 문예와 지식 권력론 서설 = Introduction to early modern Yūjo-literature related to knowledge-power : the practice of 『Shōen-Okagami』 「If you die, let's go with the wooden sword」 : 『제염대감(諸艶大鑑)』 「죽으면 함께 목검(死ば諸共の木刀)」의 영위 양성윤 p. 139-183

18세기 일본 문인 교유 네트워크의 데이터 모델링 시론 = Data modeling of the 18th century Japanese literati Kyoyu network : focusing on Rai Shunsui's "Zaisinkiji" : 라이 슌스이(頼春水)의 『자이신키지(在津紀事)』를 중심으로 정경진 p. 185-220

中島敦の植民地表象と文明病としての結核 = Representation of colony and tuberculosis as a civilization disease in Nakajima Atsushi's literature : focusing on 'Scenery with the police officer' and 'Light, wind and dreams' : 「巡査の居る風景」と『光と風と夢』を中心に 金孝順 p. 221-246

木下尚江の小説と戦争認識 = Kinoshita Naoe's understanding of war : the two-line structure of "anti-war" and "love" in his novels : 「反戦」と「恋愛」の二重構造を中心に 張小玲 p. 289-312

‘Visit_host’ 프레임 한·일 컬처마이닝 연구 = A study on culture mining of Korean and Japanese 'Visit_host' frame 이준서 p. 313-332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콘텐츠 투어리즘 소비 = Consumption of Korean content tourism through text data analysis : focusing on <Slam Dunk> content tourism : <슬램덩크>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우, 유하영, 허은지, 류정훈 p. 333-366

北朝鮮と日本の映画交流·関係史に関する研究(1994~2011) = 북한과 일본의 영화 교류·관계사 연구 (1994~2011) 金寶賢, 咸忠範 p. 403-443[실은 403-444]
일본 아동용 대중문화의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 A realistic mechanical description of popular culture for children in Japan : focusing on the illustrations of giant robot animation :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의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하성호 p. 445-475

保険方式によるサービス提供が及ぼす高齢者夫婦への影響 = The impact of service provision through insurance mechanisms on elderly couples : focusing on status of care in Japan and Korea : 日韓夫婦家庭の介護実態に着目して 何妨容 p. 477-518

기시다노믹스의 ‘새로운 자본주의’ 경제정책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conomic policy of 'new form of capitalism' of Kishidanomics 강철구 p. 519-544

일본 자민당 정권의 만엔 권 화폐인물 교체와 그 활용 = The change and utilization of Japanese banknotes in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of Japan : focus on the NHK Taiga historical drama Reach Beyond the Blue Sky : NHK 대하드라마 『청천을 찔러라(青天を衝け)』를 중심으로 이정화 p. 545-574

17~19세기 나고야(名古屋) 지역에서 유통된 서적(書籍)의 조선 관련 기술 = A description on Joseon of books distributed in the Nagoya(名古屋) area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허지은 p. 575-607

일본 고훈시대 살포의 형식과 시기별 양상 = The formality and aspects of Salpo In Japan's Kohun periods 이상원 p. 609-638

전후 일본의 한국전쟁과 상상의 (불)가능성 = The Korean War and the (im)possibility of imagination in postwar Japan : focusing on Seicho Matsumoto's "Songen(Dignity)" and "Kuroji-no-E(Painting on a Black Canvas)" : 마쓰모토 세이초(松本清張)의 「존엄(尊厳)」, 「검은 바탕의 그림(黒地の絵)」을 중심으로 국승인 p. 247-287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 Understanding the domestic reception of Makoto Shinkai's animation through text mining : a focusing on the <Your name.>, <Weathering With you>, <Suzume> :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스즈메의 문단속>을 중심으로 김지우, 김강은, 박윤미, 신민경, 권민혁, 이상혁 p. 367-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