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994年から2011年までの「金正日時代」日朝関係は改善と悪化を繰り返してきた。北朝鮮と日本の国交正常化に向けた「日朝国交正常化交渉」と2002年と2004年に開催された「日朝首脳会談」により、両国関係回復への期待感が高まった。しかし、北朝鮮のミサイル発射によって再び日朝関係が緊張状態に突入する。特に日本人拉致問題は日本国内の北朝鮮に対する世論悪化を招いてきたにもかかわらず、両国の映画を通じた交流は持続的に行われた。 この時期、両国の映画交流は新しい局面を迎えることになる。北朝鮮で日本映画が映画館で大衆に上映され、日朝合作映画の存在が公開されたという事例が代表的だと言えるだろう。また、日本の有名監督たちが北朝鮮映画界と関係を結び、国交を結んでいない状態であるにも関わらず、両国の映画交流は民間レベルでも緊密に行われた。 一方、この時期の北朝鮮映画における日本(人)表象と、日本映画における北朝鮮(人)表象は、同時期の両国の外交的様相と北朝鮮社会の当面する問題および社会的雰囲気に大きな影響を受けていた。まず、北朝鮮映画による日本(人)表象は大衆に反日意識を高めることを目的とする「反日教養」映画に顕著に現れた。このような映画の中で日本(人)は朝鮮を物質的、精神的に収奪する存在として描かれた。 また、2000年代以降の北朝鮮映画における日本(人)の表象は解放後、朝鮮人の帰還過程とその後の人生を描いた映画の中でも見られる。このような映画で繰り返されている「被害者(朝鮮女性)/加害者(日本男性)」の構図は、解放後も続く日本(人)の朝鮮に対する蛮行を示し、当時の北朝鮮社会に反日感情を鼓吹させる役割を果たした。 次に、日本映画における北朝鮮(人)の表象も、日本社会の北朝鮮に対する政策と世論の影響を受けていた。特に在日朝鮮人を主要人物型に設定した映画は、彼らを「韓国籍」「朝鮮籍」と二分化して思考する日本社会の現実が反映されたものだった。さらに映画で「朝鮮籍=北朝鮮」という図式は、北朝鮮を象徴する事物、そして現実と遊離している朝鮮学校の姿を通じて生産されていた。そしてこのように作られた図式は、当時の日本国内の北朝鮮に対する否定的な世論と重なり、現実の中の北朝鮮(人)に対するイメージと認識にまで影響を及ぼした。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이른바 ‘김정일 시대’의 북일 관계는 개선과 악화를 반복하였다. 북한과 일본 간 국교 정상화를 위한 ‘북일수교협상’과 2002년과 2004년에 개최된 ‘북일정상회담’은 양국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왔다.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해 다시금 북일 관계가 긴장 상태에 돌입하였으며, 특히 일본인 납치 문제는 일본 내 북한에 대한 여론 악화를 불러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영화를 통한 교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 양국의 영화 교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북한에서 일본영화가 영화관을 통해 대중들에게 상영되고 북일 합작영화의 존재가 공개된 사례들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의 유명 감독들이 북한 영화계와 관계하게 됨으로써, 비록 국교를 맺고 있지 않은 상태였으나 양국의 영화 교류는 민간 차원에서나마 긴밀하게 이루어졌다.
한편, 이 시기 북한영화 속 일본(인) 표상과 일본영화 속 북한(인) 표상은 동시기 양국의 외교적 양상과 북한 사회의 당면 문제 및 사회적 분위기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먼저, 북한영화 속 일본(인) 표상은 대중들에게 반일 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이 목적인 ‘반일 교양’ 영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화에서 일본(인)은 조선을 물질적, 정신적으로 수탈하는 존재로 그려졌다.
또한, 2000년대 이후 북한영화 속 일본(인) 표상은 해방 이후, 조선인의 귀환 과정과 그 이후의 삶을 그린 영화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영화들에서 반복되고 있는 ‘피해자(조선 여성)/가해자(일본 남성)’의 구도의 서사는 해방 이후에도 이어지는 일본(인)의 조선(인)에 대한 만행을 보여주며 당시 북한 사회에 반일 감정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다음으로, 일본영화에서 북한(인) 표상 역시 일본 사회의 북한에 대한 정책과 여론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히 재일코리언을 주요 인물형으로 설정한 영화들은 그들을 ‘한국적(韓國籍)’, ‘조선적(朝鮮籍)’으로 이분화하여 사고하는 일본 사회의 현실이 반영된 것이었다. 더욱이 영화에서 ‘조선적=북한’이라는 도식은 북한을 상징하는 사물들, 그리고 현실과 유리된 조선학교의 모습을 통해 생산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도식은 당시 일본 내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과 중첩되어 현실 속 북한(인)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