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생태(ecology) 문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뒷받침하는 원론적 사안으로, 환경친화성을 위한 기술적·제도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논의되어야 하는 주제이다. 특히 인간-비인간에 대한 평형적, 순환적, 관계적 시각에 기반한 생태적 인식을 통해 환경 관련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환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물’과 인간의 관계성을 제인 베넷의 생기적 유물론에 기반하여 논의한다. 이는 첫째, 사물을 상품 경제 체제에서 탈피시킴으로써 그 자체의 생기를 보유한 개체로 보는 것(사물 존재론)이고, 둘째, 인간과 비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개체들이 끊임없이 작용·변화하는 관계에 놓여 있다는 시각이다. 이를 위해, 디자이너(그룹) 슬로트 로우징의 의복 퍼포먼스, 그리고 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지층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물질성을 탐색하는 샤하르 리브네의 실험적 디자인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산업 경제 구조에서 부여된 가치에 의해 사물의 생-사(폐기)를 구분하는 선적 논리에서 벗어나, 사물/물질의 재생을 순환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생기의 활성화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생태적 인식에 기반할 때 디자인 실천을, 절대적 문제 해결이 아닌, 사물/물질에 내재한 잠재적 행위능력을 매개하고 배치 및 재배치하는 활동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course on ‘ecologies’ is crucial for strengthening sustainable design principles along with technological progress. In particular, we can develop a renewed ecological epistemology centered on a circular and rela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nonhuman relationship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ings based on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First, it seeks to position ‘thing’ as an entity inherently imbued with vitality. Second, it asserts that all entities exist within a web of relations constantly evolving and open to different potentials. To this end, the analysis includes Sloth Rousing’s fashion performance and Shahar Livne’s experiment with novel materiality based on the geological formation of plastiglomerate. Consequently, it aims to transcend the linear understanding of a thing’s existence, which is often limited to the use value assigned to it. Instead, it emphasizes the regeneration of the thing as an act of vitaliz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제인 베넷의 생기적 유물론을 통한 생태 디자인의 이해 = Understanding ecological design :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김정혜 p. 5-26

오토포이에시스와 예술체계의 진화 = The evolution of autopoiesis and art system : Lee Seungjio and Hong Seunghye : 이승조와 홍승혜의 체계 김로이 p. 27-49

‘만들기’적 수행 행위와 예술적 실천 = ‘Making’ performance and artistic practice in Anjeong-ri projects : 안정리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조지연 p. 51-72

탑샷이 이끄는 NBA의 새로운 미디어 코트 = Top Shot and the NBA’s new media court : creating a proprietary aura and a communal aura with NFTs : NFT로 창조하는 소유적 아우라와 공유적 아우라 송지혜 p. 73-93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에 재현된 역사적 트라우마 = Reenacted historical trauma in animated documentary : focus on the opening sequence of the film 26 Years (2012) : 영화 <26년>(2012)의 도입부를 중심으로 이현석, 김유미 p. 95-113

니체의 미적-생리적 변용의 두 요소 = Two elements of Nietzsche’s aesthetic-physiological transfiguration :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Apollonian and the Dionysian :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갈등과 화해 정희중 p. 115-137

연극놀이에서 ‘생성’으로서의 내러티브 연구 = Narrative as ‘creation’ in drama : creation process, metaphor, and symbols : 생성 과정과 은유와 상징을 중심으로 이수연 p. 139-161

미니멀 음악의 샘플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ampling of minimal music : focusing on the works of Philip Glass and Steve Reich : 필립 글래스와 스티브 라이히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민희 p. 163-185

해방공간과 한국 전쟁기 동요에 관한 고찰 = Children’s songs during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and the Korean War 최윤실, 김은주 p. 187-211

해방공간 및 1950년대의 대중가요통제 연구 = K-pop regulation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1945-1948, and the 1950s : an examination of records, performances, and broadcasts : 음반, 공연, 방송을 중심으로 문옥배 p. 213-237

에듀테크 활용 블렌디드 국악 수업의 실제와 학습 효과 = The theory and practice of using edutech for blended Korean music classes : focused on Korean instruments : 국악기 중심으로 김아현 p. 239-266

의대교수의 예술경험을 통한 인간이해 연구 = A study on human understanding : a professor of medicine’s experiences with art 한민서 p. 267-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