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 수용된 도구적 관점을 검토하고, 챗GPT 글쓰기가 가능해진 시대에,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고찰한 것이다. 교양국어의 무용론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수용된 글쓰기의 도구적 관점이 챗GPT의 등장으로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글쓰기 교육에서 챗GPT의 활용 및 수용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글쓰기를 결과물 산출 도구로 보는 관점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는 내용을 표현하는 도구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고등사고력을 유지 및 신장시키는 활동이다.

AI 글쓰기가 가능해진 시대에 인간의 고등사고력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고등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술 글쓰기 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쓰기 주체의 표현 본능을 충족시키고 개인의 경험을 토대로 삶의 의미를 탐색할 수 있는 경험 주체의 표현 중심 글쓰기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니코드 한자-한글 자동 변환 연구 및 구현 = A study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Unicode Hanja to Hangul conversion 이도길 p. 1-28

『님의 침묵』의 어휘적 분석 = Lexical analysis of 『The Silence of Nim』 : focusing on high-frequency Eojeol and co-occurrence relational Eojeol : 고빈도 어절과 공기 관계 어절을 중심으로 이정민, 이원영 p. 29-78

챗GPT의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성찰 및 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 In the age of ChatGPT, reflections o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research on educational directions 나은미 p. 79-106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의사소통의지 연구 = An analysis of Korean speaking willingness to communicate of foreign undergraduates 강소산, 조윤경 p. 107-133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 관련 문헌 분석 =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강아라미, Cui Xiuying p. 135-172

한국 문학 및 한국 문화 교수 학습 방법 연구 = A study o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 해외 한국어 관련 학과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동환 p. 173-204

가톨릭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기관 ‘명도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yeongdowon’, a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for Catholic missionaries : focusing on the oper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of Myeongdowon : 명도원의 운영과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박새암 p. 205-237

전문대학에서의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in university colleges 손혜진, 안정호 p. 239-262

모집 공고 분석을 통한 해외 파견 한국어교원의 자격 요건 및 직무 연구 = A study on qualifications and dut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 dispatched overseas through analysis of recruitment notices 장미경 p. 263-296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대한 교사의 경험 및 교사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ers’ experiences and teacher education methods for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the metaverse 장미정, 심지연, 박정은, 김나래 p. 297-329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한국어 어휘 사용 연구 =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Korean vocabulary usage of Korean student for academic purpose 주월랑 p. 331-358

한국어 단기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s : focused on the NSLI-Y program : NSLI-Y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예림 p. 359-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