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을 분석하여 가치 수직선 토론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나아가 토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은 어떠한가? (1) 인지 갈등 상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2) 인지 갈등 상황별 학생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의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토론 전, 후 활동지와 최종 글쓰기 자료, 토론 후 설문 자료, 특이 사례 인터뷰 자료를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은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과 신념 간의 갈등 상황으로 구분된다.

둘째,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 상황에서는 ‘신념 조정’, ‘외부 지식 조정’, ‘반작용적 강화’와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셋째, 신념과 신념의 갈등 상황에서는 ‘수용’이나 ‘갈등 지속’과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넷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학생들은 총 9가지 인지 갈등 양상(대체, 혼란, 갈등 지속, 논리적 수용, 비논리적 수용, 반작용적 강화, 무시, 배제적 방어, 수용적 방어) 중 ‘무시’나 ‘배제적 방어’와 같은 폐쇄적 반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섯째, ‘코로나 백신 의무화’와 같이 삶에 깊게 관여된 논제로 진행한 토론에서는 ‘반작용적 강화’와 ‘무시’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토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론 교육의 지속적인 적용을 통해 신념에 충돌하는 외부 지식에 의도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폐쇄적 사고 태도를 개방적 태도로 발전시키도록 해야 한다.

둘째, ‘누가 더 자신 있고 유창하게 말하는가?’를 평가하는 말하기 위주의 토론 지도에서 벗어나 ‘누가 상대편의 주장을 잘 듣고 객관적으로 논리를 평가하고 판단하는가?’와 같이 듣기의 중요성도 강조하는 토론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인지 갈등을 유발하는 외부 지식을 제공하여 충돌 상황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토론의 논제는 공감할 만한 것이면서 평소 생각해 본 적이 있을 정도의 친숙함이 느껴지는 논제이되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관점에서 볼 수 있을 만큼의 객관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별 환경조건에 따른 용인시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in pro-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oung[실은 Yongin] City according to reg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성민수, 홍성두, 이상원 p. 1-16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김지유, 정현수, 손혁준 p. 17-38

HAPNB 교육에 기초한 초등학교 원예치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가치 = Development and value of en[실은 an] elementary horticultural therapy education program based on HAPNB education 손장호 p. 39-62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아동-교사 관계와 아동의 행동적 집행기능 곤란 간 종단적 관계 검증 = Examining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children’s behavioral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focusing on the child’s gender : 아동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민경 p. 63-86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 = Cognitive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vealed in the value continuum discussion 이세미, 박창균 p. 87-109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사운드스케이프 활용 단계별 음악 창작지도 연구 = Explore the use of soundscape to guide music composition in the context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송정주 p. 111-135

초등 두드림학교 사업 집행 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Do-Dream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the Lipsky’s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 Lipsky의 일선관료모형을 중심으로 김병국, 정성수 p. 137-160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기반 머신러닝 학습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achine learning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김동영, 유인환 p. 161-180

IB PYP 프레임워크와 추가언어교육 = Additional language education in IB PYP framework 김영민 p. 181-202

고쳐쓰기 활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개선 방향 탐구 = A critical examination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directions for revision activities : based on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grades 3-4 and 5-6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2015개정 초등학교 3~4학년, 5~6학년군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강동훈 p. 203-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