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가치 수직선 토론에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을 분석하여 가치 수직선 토론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나아가 토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 양상은 어떠한가? (1) 인지 갈등 상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2) 인지 갈등 상황별 학생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의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토론 전, 후 활동지와 최종 글쓰기 자료, 토론 후 설문 자료, 특이 사례 인터뷰 자료를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드러난 초등학생의 인지 갈등은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과 신념 간의 갈등 상황으로 구분된다.
둘째, 신념과 외부 지식의 갈등 상황에서는 ‘신념 조정’, ‘외부 지식 조정’, ‘반작용적 강화’와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셋째, 신념과 신념의 갈등 상황에서는 ‘수용’이나 ‘갈등 지속’과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넷째, 가치 수직선 토론에서 학생들은 총 9가지 인지 갈등 양상(대체, 혼란, 갈등 지속, 논리적 수용, 비논리적 수용, 반작용적 강화, 무시, 배제적 방어, 수용적 방어) 중 ‘무시’나 ‘배제적 방어’와 같은 폐쇄적 반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섯째, ‘코로나 백신 의무화’와 같이 삶에 깊게 관여된 논제로 진행한 토론에서는 ‘반작용적 강화’와 ‘무시’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토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론 교육의 지속적인 적용을 통해 신념에 충돌하는 외부 지식에 의도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폐쇄적 사고 태도를 개방적 태도로 발전시키도록 해야 한다.
둘째, ‘누가 더 자신 있고 유창하게 말하는가?’를 평가하는 말하기 위주의 토론 지도에서 벗어나 ‘누가 상대편의 주장을 잘 듣고 객관적으로 논리를 평가하고 판단하는가?’와 같이 듣기의 중요성도 강조하는 토론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인지 갈등을 유발하는 외부 지식을 제공하여 충돌 상황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토론의 논제는 공감할 만한 것이면서 평소 생각해 본 적이 있을 정도의 친숙함이 느껴지는 논제이되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관점에서 볼 수 있을 만큼의 객관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