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英祖(1694~1776)의 御製에 나타난 배움에 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성리학이 지향하는 ‘배움’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영조는 성리학에서 修身의 방법론으로 제시되는 尊德性 道問學을 道問學 중심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이것이 尊德性을 경시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 영조는 존덕성과 도문학을 새의 양 날개로 비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조는 사람답게 되기 위해 배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조는 이러한 배움의 성취를 위한 자신의 독서법을 제시한다. 군주인 영조에게 배움은 기질 변화를 통해 하늘에서 부여받은 본래성을 온전히 드러나게 해 주는 것이자 백성들을 새롭게 하고 時弊를 구제하는 방법이다. 이는 『大學』의 논리 구조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영조의 배움에 관한 인식은 그의 지위와 연결됨으로써 성리학적 사유와 담론이 단지 형이상학적 사유 방식과 지식 체계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수양과 구체적인 사회 유지를 위한 실제 방법론으로 작동했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안씨가훈(顔氏家訓)』의 영향과 조선식 가훈(家訓)으로의 변모 = Spread of 『Family Mottoes for the Yan Clan(顔氏家訓)』 and transformation into Joseon-style family motto (家訓) 한태빈 p. 5-43

御製에 담긴 英祖의 배움에 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eongjo's learning in Yeongjo's writings 홍한얼 p. 45-73

고종대 왕세자 입학례(⼊學禮)의 시행과 의의 = Crown prince's entrance ceremony during the reigns of King Gojong : implementation and significance 우정 p. 75-114

음악 문헌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종묘악장의 변화 탐색 = Exploration on the change of Jongmyo Akjang in early Joseon seen through music literatures 이정희 p. 115-153

광해군대 수군 召募陣의 설치와 金海府 = The establishment of naval Somojin(召募陣) in the Gimhae area during the Gwanghaegun era 한성일 p. 155-198

일휴정 이영세의 반궁 생활과 학문적 교유 범위 = Ilhyujeng Lee Yeong-se's life in the Banggung and the scope of his academic exchanges 박인호 p. 199-247

조선후기 노비와 상전의 이해 = Nobi and Sangjeon's dialog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reciprocity, benevolence and wisdom : ‘충(忠)’과 ‘이(利)’ 그리고 호혜와 시혜 정수환 p. 249-283

숙종대 武臣의 경연 참여와 역할 = The military officer[武臣] participation and role in the royal lecture[經筵] during King Suk-Jong[肅宗] 이인복 p. 285-323

조선후기 왕릉의 肉膳 陳設과 親傳香儀 논의 = Discussion on the provision of meat ritual food at royal tombs and the royal ritual for delivering incense by the king himself in the late Joseon Dynasty 김충현 p. 325-350

임오화변(壬午禍變)의 서막 = Prelude to the Imohwasbyeon(Crown Prince Sado's Tragic Death) : King Yeongjo's food abstinence vs. Crown Prince Sado's gluttony : 영조의 절식(節食・絶食) 대(對) 사도세자의 탐식(貪食) 엄소연 p. 351-381

朝鮮時代 代理聽政 移行을 위한 王命의 頒布와 節次 = Proclamation of royal decree for transition to Daeri-cheongjeong during Joseon Dynasty and procedure for its proclam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proclaiming Daeri-cheongjeong-jeolmok in 1827 : 1827년 대리청정절목 반포 사례를 중심으로 박철민 p. 383-425

멸실과 보존 사이 = Between destruction and preservation : 'Jodae Bultong Kiln' for making shrimp jars from Seongchon Onggi factory,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 충청남도 홍성군 성촌토기의 새우젓독 제작용 ‘조대불통가마’ 주영하, 황진서, 박성우 p. 427-478

스페인 몬드라곤 타운의 지역개발 거버넌스와 한국의 지역소멸 대책에의 시사점 = The local development governance of Mondragon town in Spain and its implication for the Korea's local community development 한도현 p. 479-51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