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2023 = Korea 2023 : deepening political conflict and the retreat of parliamentary politics : 정치적 갈등의 심화와 의회 정치의 후퇴 지병근 p. 9-44
중국 2023 = China 2023 : governance crisis and strengthening control of the party-state system : 거버넌스 위기와 강화되는 통제 국가화 이정남 p. 45-79
대만 2023 = Taiwan 2023 : the persistent cross-strait crisis and preparations for the 2024 presidential election : 상존하는 양안 위기와 2024년 총통 선거의 준비 지은주 p. 81-110

일본 2023 = Japan 2023 : the crisis of low approval ratings and the challenge of political renewal : 저조한 지지율 위기와 정치 쇄신의 과제 오승희 p. 111-142

19세기 후반 및 20세기 초반 국제법체계상 종주권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suzerainty in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international law 오시진 p. 143-177
19세기 후반 중국의 서구식 주권·종주권 개념 수용과 적용 = Chinese inculturation of concepts of sovereignty and suzerainty in the late 19th century : focusing on the meanings of “Zizhu(自主)” : ‘自主’ 개념을 중심으로 이동욱 p. 179-200
1880년대 초반 영국의 조청(朝淸) 관계 인식과 정책 수립에 관한 영미권 학계의 초기 연구 분석 = An analysis of early Anglo-American academic research on British perceptions and policy formulation of Manchu-Chinese relations in the early 1880s : focusing on the research of Jones, F.C., and Kiernan, E.V.G., in the 1930s : 1930년대 존스(Jones, F.C.)와 키어넌(Kiernan, E.V.G.)의 논저를 중심으로 한승훈 p. 201-230
외교사라는 서사 만들기 = Making national narrative of diplomatic history : focusing on Shin Ki-suk’s work on diplomatic history of modern Korea : 신기석과 탈식민 한국외교사 연구의 성립 사정 옥창준 p. 231-256
현대 국제법의 근대 종주권 및 주권 문제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modern suzerainty and sovereignty issues in current international law :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British colonization of India and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Joseon : 영국의 인도 식민지화와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과정의 비교를 통해 이석우 p. 257-292
일본의 신자유주의개혁과 시민사회의 역할 변용 = Japan's neoliberal reform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role of civil society : focusing on the politics of ‘regime shift’ and ‘policy ideology’ : ‘정권교체’의 정치와 ‘정책이념’을 중심으로 권연이 p. 293-325
조선-이탈리아 수호통상조약(1884)의 체결 및 비준 = Process and meanings of Korean-Italian Treaty (1884) : as a chance to disptach Korean envoys to Europe : 조선의 유럽 공사 파견의 계기로서 안종철 p. 327-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