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국가 중 권위주의 공고화 정도가 가장 높은 아제르바이잔을 통해 권위주의 체제 하 젠더 문제와 여성운동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소연방으로부터 독립 이후 아제르바이잔 알리예프(Əliyev) 체제는 민족의 가치와 정체성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가부장제와 결합한 권위주의 공고화에 주력해 오고 있다. 국가는 민족 정체성에 대한 권위주의적 이해에 따라 국민을 동원했으며, 가부장제 프레임 속에서 자신들이 규정한 “국가적 여성상”을 구축하여 여성 시민들에게 민족의 가치와 정체성을 수호하는 의무를 부여했다. 특히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에서 여성이 겪은 피해는 국가에 의해 여성으로 형상화된 국가적 명예에 대한 공격과 등치됐고, 아제르바이잔 여성은 남성군인 가족을 둔 존재(특히 어머니)일 때 상기한 국가적 여성상에 부합한 존재로 인정받았다.

한편, 아제르바이잔 여성운동은 초기에 국가와 조합주의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가부장적 부조리에 대한 적극적 저항 대신, 여성을 지원하고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다가 2010년대에 이르면서 젊은 여성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여성 억압적 사회 구조 철폐를 주창하는 여성운동이 새롭게 등장, 여성에 의한 풀뿌리 시민 결사체 형성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2019년 3월 ‘바쿠 여성의 날’ 집회를 기점으로 아제르바이잔 여성운동은 시위 조직, 시민운동과의 연대 등으로 본격적으로 여성 문제를 정치 쟁점화한다. 한편 정부는 가부장적 가치관의 재(再)강화를 통해 사회적 부조리나 불평등에 저항하는 여성 운동을 강하게 억압하고, 여성운동가들에게 ‘반국가적’이라는 낙인을 찍는다.

결론적으로, 중앙아시아 젠더 문제는 권위주의 체제의 가부장적 이해관계에 따른 젠더적 약자의 소외 및 이에 대한 저항이라는 성격을 띤다. 특히 2010년대부터 중앙아시아에서도 젠더 문제가 시민 차원에서 정치적 쟁점이 되는 점은 권위주의 정권과 시민사회 간의 관계로서 젠더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이기도 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취업 및 수도권 유출 결정요인 =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outflow of young college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 부모 소득과 노동시장 성과를 중심으로 상명성, 문영만 p. 349-366

인천 지역 히든챔피언의 내재적 위험 요인 = The inherent risk factors of Incheon hidden champions 김우진 p. 367-386

지방공항을 활용한 일본의 해외 관광객 유치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attracting overseas tourists in Japan using local airports 권장욱 p. 13-34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on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Shenyang, Liaoning Province, China :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곽몽정, 유평수 p. 217-237

중국 원자력영화와 이데올로기 = Ideology in Chinese atomic film 김명석 p. 239-263

乡村振兴战略下城乡互动共生模式研究 = Research on the urban and rural interactive symbiosis mode under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 以小巷三寻和水沟头寨为例 王雅丽, 王心瑶, 이명애 p. 445-457

평생학습의 참여동기가 주관적 행복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주도학습과 자기효능감의 간접효과에 관한 연구 = Indirect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iddle-aged Chinese adult lifelong learners : 중국의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이영촌, 임명희 p. 201-216

Candi Borobudur revisited = 보로부두르 사원의 상징성 재고(再考) : a cosmological mountain for mahayana Buddhist pilgrims : 대승불교 순례자들을 위한 우주론적 산 Yekyoum Kim p. 429-443

인도네시아 빠뿌아 여성의 패션과 미인대회 출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Indonesian Papua women's fashion and the beauty contest 강영순 p. 125-139

아제르바이잔 권위주의 체제에서의 젠더 문제와 여성운동 = Gender issues and the women's movement in the authoritarian regime of Azerbaijan 주현성, 이지은 p. 161-180

‘壬申誓記石’ 재연구 = A study on the "Imshen Oath Stone"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East Asian culture : 트랜스 동아시아의 시각으로 高爭爭 p. 265-285

명· 청 철학에서 ‘知’의 변화 = Change of 'knowledge(知)' in Ming-Qing(明淸) philosophy. 1, Focusing on Fang Yi Zhi, Dai Zhen, Tan Si Tong's theory of knowledge. 1, 방이지 대진 담사동의 지식론을 중심으로 박영미 p. 299-313

인도네시아 발리 관습마을 자치규약 ‘아윅아윅’ 연구 : 까랑아섬 군 띰브라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상경 p. 141-149
‘해석’에서 ‘예언’으로 = From 'interpretation' to 'prophecy' : two perspectives on looking at disaster in Han Dynasty : 한대 재이를 바라보는 두 관점 권민균 p. 287-297

한국경제의 지역간 상호연계도 변화와 요인 분석 = The analysis of changes in regional interconnectedness in the Korean economy : SDA and SSA linkage : 구조분해분석과 변이할당분석의 연계 김완중 p. 405-427

중국판 챗GPT 어니봇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E-SERVQUAL 요인 실증연구 = A study on E-SERVQUAL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the Chinese version of ChatGPT Ernie Bot 손정현, 한동균 p. 107-123

외국인 유학생 고용정책이 부산국제관광도시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foreign student employment policy on Busan international tourism city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hotel industry in Busan : 부산지역 호텔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미 p. 315-327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셀익잔 p. 329-347

일본 출입국정책의 변화와 사회통합의 과제 = Japan's changing immigration policy and challenges of social integration : ‘통합 없는 수용’과 공생의 모순 박승현 p. 1-12

한국의 도시계획시설 민간투자를 위한 확률적 재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ochastic financial analysis of private investment urban planning facilities : 서남권 도심항공교통(UAM) 복합환승센터 건립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강재영, 나주몽 p. 387-403

중국 비(非)물질문화유산의 디지털화를 통한 융합 사례 = Case study on fusion via digitalization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focused on fusion & expansion of platform and tourist industry : 플랫폼·관광산업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오혜정 p. 91-105

극동 퉁구스족 불신제(火神祭)의 문화기술지 = The cultural description of the ritual of the fire god of the Far Eastern Tungusic 엄순천 p. 181-200

EU와 EU회원국의 대중국 공급망정책 = EU and EU member-countries' supply chain policy to China : focus on the battery and the critical raw materials : 배터리와 핵심광물을 중심으로 안상욱 p. 71-90

일본의 ‘경제안보’외교와 한일관계의 탈(脫) 경로의존성 = Japan's economic security diplomacy and divergence from the path dependence of Korea-Japan relations the linkage politics between the Prime Minister's office, the LDP, and public opinion during the Abe administration : 아베정권기 관저-자민당-여론의 연계정치를 중심으로 권연이 p. 35-53

미·중 패권경쟁과 사이버안보 정책의 변화 =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and cybersecurity policy changes 오은주, 백선우 p. 5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