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세종은 1446년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가 일단 편찬된 후 안견(安堅)에게 태조 이성계가 전장에서 어승(御乘)했던 팔준(八駿)을 그림으로 그리게 하고 정인지(鄭麟趾) 등에게 태조팔준(太祖八駿)의 찬(贊)과 「팔준도지(八駿圖誌)」를 제술하게 하여 『용비어천가』 제70장 주에 싣게 했다. 1447년 중시(重試) 문과의 재시(再試)에서는 「의집현전진팔준도전(擬集賢殿進八駿圖箋)」을 제술하게 했고, 중시 고시관 하연(河演)의 「팔준도시」 헌정을 계기로 여러 문신들에게 각기 시문 양식을 선택해서 팔준을 노래하게 했다. 이에 따라 관련 문헌들이 『동문선』과 각 문신들의 문집에 전하고, 후대에 여러 전승이 파생되었다. 세종 29년 중시 재시의 전(箋), 문신들이 응제한 시(詩)·부(賦)·송(頌)·명(銘)·찬(贊) 등의 관각문(館閣文)은 국가의 성대한 사적을 분식하여 숭고미를 지니고 있다. 세종이 태조의 건국 사업에 팔준이 협찬한 사실을 현창하여 정치에서 인재 협찬의 중요성을 암암리에 강조한 이후로 광해군, 숙종, 정조 등 후사왕들도 태조팔준을 환기하면서 왕조의 이념을 재확인했다. 본 논문은 팔준 관련 시문 창작의 경위와 이념, 후대의 환기 사실을 고증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사강의(經史講義)」에 나타나는 정조의 질문 방법론 연구 = Inquiry into Jeongjo (正祖)'s scholarly approach and methodology in "Lectures on Classics and History"(經史講義) : with a focus on neo-Confucianism and Great Learning : 주자학과 『대학』 이해를 중심으로 이시연 p. 551-584

東亞唐詩學的史料範圍與研究視角 = 동아시아 당시학(唐詩學)의 사료 범위와 연구 시각 查清華 p. 19-38

新羅末賓貢諸子的唐詩接受 = 신라말 빈공제자의 당시 수용 劉暢 p. 39-60

觀念的流動 = 관념의 흐름 -조선 종당(宗唐) 시풍의 흥기와 명나라 복고 사조의 관련성 : 朝鮮宗唐詩風興起與明人復古思潮之關聯 殷星歡 p. 89-116

山田新川對≪三體詩≫的接受研究 = 야마다 신카와(山田新川)의 『삼체시(三體詩)』 수용에 대한 연구 林雅馨 p. 117-150

세종의 태조팔준 현창 제술부과와 숙종·정조의 계승 = Sejong's assignments for composing praise to T'aejo's P'alchun and the succession in Sukchong and Chŏngjo's reigns 심경호 p. 153-220

서간문을 통해 본 허균의 교유 관계 = Hŏ Gyun's network of social relations as observed through his correspondence 김영연 p. 221-254

홍경래난에 대한 조선조 문인의 인식과 글쓰기 양상 고찰 = Perceptions and writing patterns of literati in the Chosŏn Dynasty on the Hong Gyeong-rae rebellion 성아사 p. 255-302

어촌 심언광의 「차이소경(次離騷經)」에 나타난 ‘초사(楚辭)’의 미의식 =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 mentioned in the Eochon Sim Eon-gwang's "Cha-IsoKyung(次離騷經)" 신두환 p. 303-347

어촌 심언광의 역사제재 한시에 관한 고찰 = A study of Eochon Sim Eon-gwang's Chinese poems on history 반재유 p. 349-375

韩国古代诗家对欧阳修诗论的批评 = 구양수 시론에 대한 한국 고대 시인의 비평 연구 劉會凱 p. 377-404

燕行使者對18世紀中國城市社會空間的書寫 = 18세기 연행 사신의 중국 도시 사회 공간에 관한 기록 : 김창업, 이의현, 홍대용, 박지원의 연행록을 중심으로 : 以金昌業、李宜顯、洪大容和朴趾源燕行作品為中心 連麗麗 p. 405-431

만사와 제문을 통해 본 소남의 인적·사회적 관계망 = Exploring the personal and social networks of Sonam Yun Dong-gyu through eulogies and memorial addresses 백진우 p. 433-474

소남(邵南) 윤동규의 사칠이기설 연구 = The Four-Seven LiQi Theory(四七理氣說) of Sonam(邵南) Yun Dong-Gyu(尹東奎) 송성섭 p. 475-515

윤지당의 성리학적 특징 고찰 = A study on the neo-Confucian characteristics of Yoonji-dang 안유경 p. 517-550

귀도 비탈레(Guido Vitale)의 소화서(笑話書) 『재미있는 중국 이야기(Chinese merry tales)』에 나타난 중국의 형상 = The figuration of Chinese images in Guido Vitale's Jest Book Chinese Merry Tales 구현아 p. 585-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