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여러 증언과 연구는 1990년대 고정희의 시적 계기로서 필리핀을 주목해 왔다. 그러나 그에 대한 실증적인 논의는 구체화되지 않아 고정희가 남긴 마지막 시편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밥과 자본주의」 연작을 비롯한 고정희의 시 여러 편은 ‘아시아예전음악연구소(Asian Institute for Liturgy and Music)’의 노래책을 만드는 공동작업 속에서 창작·배치되었고 『희년을 위한 노래(Songs for Jubilee)』(고정희 시, 이건용 곡, 1991)로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 사실은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희년을 위한 노래』를 소개, 분석하며 그 작업의 실체와 맥락, 의미를 실증적으로 규명한다. 「밥과 자본주의」 연작이 노래의 기획 가운데서 창작되었다는 사실은 고정희 시를 노래운동의 지평에서 사유할 필요성을 강하게 환기한다. 따라서 본고는 아시아 에큐메니칼 노래운동이라는 초국적 맥락에서 AILM을 둘러싼 네트워크를 고찰하고, 이를 ‘트랜스내셔널(transnational) 노래운동’으로 의미화한다. 「밥과 자본주의」 연작과 『희년을 위한 노래』를 그 네트워크의 형성과 함께 독해하고, 작업의 양식 및 성격을 ‘혼합주의(syncretism)’와 ‘초국적 여성주의’의 차원에서 논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인 시설화의 두 양상 = Two aspects of disabled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n War : focusing on "In the Institution for Blind Children"(1953) and "Ugly Flesh"(1960) : 「맹아원에서」(1953)와 「육체추」(1960)를 중심으로 이한빛 p. 7-52

가해자-이후세대에 의한 베트남전쟁 증언 재현의 도전과 곤경들 = Perpetrators-postgeneration'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in Vietnam War testimony representation : focusing on Untold : 다큐멘터리 영화 <기억의 전쟁>을 중심으로 조서연 p. 53-98

『태서신사』의 국제정치론과 신법론 = International politics theory and new law theory of Taesŏ-sinsa (A New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정종원 p. 101-150

대한제국기 잡지와 애국론의 혼종성 = The hybrid nature of magazines discussing discourses on patriotism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손성준 p. 151-188

계몽운동기 제국주의 비판과 약소국 동맹론 = Criticism of imperialism and alliance of weak state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 focused on Joyangbo (朝陽報) : 『조양보(朝陽報)』를 중심으로 김헌주 p. 189-224

장응진의 문학적 글쓰기와 ‘서사 양식’의 실험 = Jang Eung Jin's literary writing and experiments of narrative form 천춘화 p. 225-254

지도시각화 기술 기반 재일본 조선 유학생 사회 타임라인 = Timeline of the society of Joseo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based on map visualization technology. 2. 2 전성규 p. 255-312

일제말기 고독한 문화인의 초상 = Portrait of a lonely cultural pers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Lee Heon-Gu's "Diary" : 이헌구의 「일기」를 중심으로 박성태 p. 315-349

학병세대 국가구상에서 세대론의 문제 = The problem of generation discourse in the national plan for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김건우 p. 351-381

4.19에 대한 『새벽』의 담론화와 재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discourse and representation aspects of the Saebyeok on the 4.19 윤영현 p. 383-435

뒷골목 방랑자의 서울 편력과 이야기의 발견 = A Back Alley Wanderer's wondering through Seoul and discovery of the story : focusing on Park Taesoon's novel The Half Moon in the Day : 박태순의 「낮에 나온 반달」을 중심으로 김영찬 p. 437-466

트랜스내셔널 노래운동 = Transnational song movement : transnational network and syncretism of "Rice and Capitalism" and Songs for Jubilee : 「밥과 자본주의」 연작시와 『희년을 위한 노래』의 초국적 네트워크와 혼합주의 정혜진 p. 467-535

한국영화의 세계화, 정치경제학적 원천과 산업 전략 =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inema, political economy and industrial strategy : the case of Shiri and Joint Security Area : <쉬리>와 <공동경비구역 JSA>의 경우 이영재 p. 537-581

한국문학 번역과 번역 비평의 가능성 =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prospects of translation criticism : on the translation of The Vegetarian : The Vegetarian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영현, 배하은 p. 583-622

현대문학 연구자 정체성의 문화냉전적 기원에 대한 물음 = Interrogating the cultural Cold War origins of Korean modern literary scholars' identities : 이봉범의 『전향, 순수, 전후, 참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3), 『한국의 냉전문화사』 (소명출판, 2023) 최진석 p. 655-684